우리 미술관 옛그림 -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의 <춘작보희도(春鵲報喜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춘작보희도(春鵲報喜圖)>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의 단원절세보첩(檀園折世寶帖) 춘작보희도(春鵲報喜圖)는 이름 그대로 생동감 넘치는 봄의 기쁨을 까치를 통하여 표현하고 있는 그림입니다. 봄에 까치가 기쁨을 알.. 역사 산책 2017.04.28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영영백운도(英英白雲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 <영영백운도(英英白雲圖)> 영영백운도(英英白雲圖)는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인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가 제주에서 유배 살던 집을 그린 것으로 생각되는 남종산수화입니다.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는 매화, .. 역사 산책 2017.04.26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신윤복(申潤福)의 <휴기답풍(携妓踏楓)>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신윤복(申潤福 1758- ? ) <휴기답풍(携妓踏楓)> 혜원(蕙園) 신윤복(申潤福 1758- ? )의 휴기답풍(携妓踏楓)은 기생의 단풍놀이라는 그림입니다. 쓰개치마를 두른 여인은 담뱃대를 물고 있는 것으로 보아 나이가 들어 보이는 기생인 것 같습니다. 쓰개치마는 원래 양반.. 역사 산책 2017.04.24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신윤복(申潤福)의 <문종심사(聞鐘尋寺))>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신윤복(申潤福 1758- ? ) <문종심사(聞鐘尋寺))> 혜원(蕙園) 신윤복(申潤福 1758- ? )의 문종심사(聞鐘尋寺)라는 이 그림은 말 그대로 종소리를 듣고서 절을 찾아가다라는 풍속화입니다. 그림의 화제(畵題)로 인해서 붙여진 제목으로 보입니다. "松多 不見寺 人世 但聞.. 역사 산책 2017.04.21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김준근(金俊根)의 <중 화장하는 모양> 우리 미술관 옛그림 김준근(金俊根 생몰년미상) <중 화장하는 모양> 기산(箕山) 김준근(金俊根 생몰년미상)의 <중 화장하는 모양>이라는 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프랑스 기메박물관 소장 그림으로 기산풍속도첩(箕山風俗圖帖)에 실린 그림 입니다. 기산(箕山)의 풍속화는 19세기 말.. 역사 산책 2017.04.19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작자 미상의 <연방동년일시조사계회도(蓮榜同年一時曹司契會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작자 미상 <연방동년일시조사계회도(蓮榜同年一時曹司契會圖) 부분> 작자 미상의 연방동년일시조사계회도(蓮榜同年一時曹司契會圖)라는 이 그림은 국립광주박물관에 소장된 그림으로 1531년 과거에 급제한 김인후(金仁厚 1510∼1560)를 비롯한 7인의 동기는 11년쯤.. 역사 산책 2017.04.17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김준근(金俊根)의 <부처께 불공하는 중> 우리 미술관 옛그림 김준근(金俊根 생몰년미상) <부처께 불공하는 중> 기산(箕山) 김준근(金俊根 생몰년미상)의 <부처께 불공하는 중>이라는 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프랑스 기메박물관 소장 그림으로 기산풍속도첩(箕山風俗圖帖)에 실린 그림 입니다. 그림은 불가에서 목탁을 두.. 역사 산책 2017.04.14
한국적인 정신문화의 산물이며 전통 문화유산인 토정비결(土亭秘訣) 한국적인 정신문화의 산물이며 전통 문화유산인 토정비결(土亭秘訣) 사람들은 예로부터 천문(天文), 지리(地理), 역학(易學), 풍수(風水), 복서(卜筮), 상법(相法) 등 다양한 술법을 익혀 왔습니다. 이를 통해서 미래를 알고 길흉화복(吉凶和福)을 인간에게 유리하게 이용하기 위해서였습니.. 역사 산책 2017.04.12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김양진(金楊震)의 <해영연로도(海營宴老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김양진(金楊震 1467-1535) <해영연로도(海營宴老圖)> 豊山金氏世傳書畵帖(풍산김씨세전서화첩)에 실려 있는 해영연로도(海營宴老圖)는 허백당(虛白堂) 김양진(金楊震 1467-1535)이 황해도 감사로 있을 때 노인들을 감영으로 초청하여 잔치를 베풀어 민심을 위로하는 .. 역사 산책 2017.04.10
우리 미술관 옛그림 - 허난설헌(許蘭雪軒)의 <앙간비금도(仰看飛禽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허난설헌(許蘭雪軒 1563-1589) <앙간비금도(仰看飛禽圖)> 어려서부터 여신동(女神童)으로 불리던 허난설헌(許蘭雪軒 1563-1589)의 앙간비금도(仰看飛禽圖)는 여성적 자아가 투영된 최초의 작품으로 평가되는 작품입니다. 앙간비금도(仰看飛禽圖)는 말 그대로 날짐승을.. 역사 산책 2017.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