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미술관 옛그림 - 혜원(惠園) 신윤복(申潤福)의 <상춘야흥(賞春野興)> 우리 미술관 옛그림 혜원(惠園) 신윤복(申潤福 1758- ? ) <상춘야흥(賞春野興)> 혜원(惠園) 신윤복(申潤福 1758- ? )의 상춘야흥(賞春野興)이라는 그림입니다. 상춘(賞春)이란 봄의 경치를 구경하고 즐기는 것을 말합니다. 어느 봄날 지체 높은 양반들이 기생과 악공을 불러 봄을 즐기는 들.. 역사 산책 2017.04.05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첨재(添齋) 강세황(姜世晃)의 <벽오청서도(碧梧淸暑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첨재(添齋) 강세황(姜世晃 1713-1791) <벽오청서도(碧梧淸暑圖)> 거문고를 그림만큼 사랑하였던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화가인 첨재(添齋) 강세황(姜世晃 1713-1791). 어릴 적부터 몸과 마음이 심약한 탓에 나다니지 못하고 산수 그림으로 목마름을 달래 오면서 거문고를.. 역사 산책 2017.03.31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김홍도(金弘道)의 <추성부도(秋聲賦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추성부도(秋聲賦圖)> 조선시대 천재화가인 김홍도(金弘道 1745-1806) 그러나 그의 말년은 경제적으로 상당히 궁핍하였다고 합니다. 1800년 김홍도(金弘道)가 56세 되던 해 정조가 49세의 나이로 승하하자 많은 개혁가들이 힘을 잃었고 그 속에 .. 역사 산책 2017.03.27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우리 미술관 옛그림 김홍도(金弘道)의 <주부자시의도(朱夫子詩意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주부자시의도(朱夫子詩意圖)>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의 주부자시의도(朱夫子詩意圖)는 김홍도(金弘道)가 1800년 정초에 정조(正朝)에게 진상한 여덟 폭 병풍 가운데 하나입니다. 김홍도(金弘道) 자필로 주자(朱子)의 칠언절구(七言絶句) .. 역사 산책 2017.03.15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신윤복(申潤福)의 <청루소일(靑樓消日)>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신윤복(申潤福 1758- ? ) <청루소일(靑樓消日)> 혜원(惠園) 신윤복(申潤福 1758- ? )의 청루소일(靑樓消日)은 청루(靑樓)에서 시간을 보내다는 말 그대로 방 안에 여유로운 양반이 문턱에 걸터 앉아 있습니다. 마루에는 한국 전통악기 중에서 유일한 화음악기이며 아악.. 역사 산책 2017.03.10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김홍도(金弘道)의 <삼세여래체탱(三世如來體幀)> 우리 미술관 옛그림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삼세여래체탱(三世如來體幀)>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의 삼세여래체탱(三世如來體幀)은 화성시 용주사 대웅보전에 있는 불경에 관한 그림 탱화입니다. 1790년 정조가 사도세자의 묘를 옮긴 후 조성한 용주사 대웅보전의 후불탱으로 사용.. 역사 산책 2017.03.06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신윤복(申潤福)의 <계변가화(溪邊佳話)>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신윤복(申潤福 1758- ? ) <계변가화(溪邊佳話)> 혜원(惠園) 신윤복(申潤福 1758- ? )은 조선 후기 3대 풍속화가로 칭해질만큼 혜원전신첩(惠園傳神帖)을 비롯한 그의 풍속화(風俗畵)들은 상당히 유명합니다. 혜원(惠園) 신윤복(申潤福)의 회화는 깔끔한 구도처리, 섬세.. 역사 산책 2017.03.03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김홍도(金弘道)의 <기노세련계도(耆老世聯契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기노세련계도(耆老世聯契圖)> 1804년 개성시 송악동 송악산 남쪽 기슭에 있는 옛 고려 정궁터인 만월대(滿月臺)에서 60세 이상 되는 노인들의 합동 잔치가 베풀어졌습니다. 이 뜻깊은 경로 행사를 그림으로 그린 것이 단원(檀園) 김홍도(金.. 역사 산책 2017.02.27
오류선생(五柳先生)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 오류선생(五柳先生)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 歸去來兮 (귀거래혜) 田園將蕪胡不歸 (전원장무호불귀) 旣自以心爲形役 (기자이심위형역) 奚惆悵而獨悲 (해추창이독비) 자, 돌아가자. 고향 전원이 황폐해지려 하는데 어찌 돌아가지 않겠는가. 지금까지는 고귀한 정신을.. 역사 산책 2017.02.24
우리 미술관 옛그림 - 탄은(灘隱) 이정(李霆)의 <묵죽도(墨竹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탄은(灘隱) 이정(李霆 1541-?) <묵죽도(墨竹圖)> 탄은(灘隱) 이정(李霆 1541-1622)은 세종의 손자의 손자인 五세손인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묵죽화가(墨竹畵家)입니다. 조선 후기의 수운(峀雲) 유덕장(柳德章 1675-1756),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와 더불어 조선 시대 3.. 역사 산책 2017.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