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1466

부지런히 선행을 한다는 고사성어 자자위선(孜孜爲善)

부지런히 선행을 한다는 고사성어 자자위선(孜孜爲善)    맹자(孟子) 고자 상(告子 上) 계명이기장(鷄鳴而起章)에 실린 글이다. 孟子曰鷄鳴而起(계명이기) 孜孜爲善者(자자위선자) 舜之徒也(순지도야) 鷄鳴而起(계명이기) 孶孶爲利者(자자위리자) 蹠之徒也(척지도야)欲知舜與蹠之分無也(욕지순여척지분무야) 利與善之間也(이여선지간야) 맹자께서 말씀하셨다.닭이 울면 일어나서 부지런히 착한 일을 하는 자는 순(舜)임금의 무리이고닭이 울면 일어나서 부지런히 이익을 추구하는 자는 도척(盜蹠)의 무리이다.순임금과 도척의 구분을 알고자 한다면 다른 것이 없다. 이익(利益)를 노리는가 선행(善行)을 지향하는가의 차이에 있다. 순임금은 부모에 대해 효도하고 이복동생들도 아끼고 사랑하여 주위 사람들로부터 칭송이 자자했다. 도척(盜蹠)..

고사 성어 2024.07.20

인생의 변화무쌍한 흥망성쇠가 꿈처럼 일시적이라는 고사성어 노생지몽(盧生之夢)

인생의 변화무쌍한 흥망성쇠가 꿈처럼 일시적이라는 고사성어 노생지몽(盧生之夢)   중국 당(唐)나라 현종(玄宗) 때 여옹(呂翁)이라는 도사가 있었다. 그는 한단으로 가는 도중에 지방의 주막에서 쉬고 있었다. 그때 허름한 차림의 젊은 노생(盧生)이 들어왔다. 그때 주막 주인은 막 조밥을 짓고 있었는데 노생이 여옹의 베개를 빌려 잠을 청했다. 여옹이 자루 속에서 베개를 찾아 노생에게 주면서 말했다. “자네 이 베개를 베게. 자네 뜻대로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게 할 테니.” 그 베개는 청자였는데 양 끝에 구멍이 있었다. 노생이 꿈 속에서 그 베개 속으로 들어가 놀라운 생애를 꿈꾸게 된다. 꿈에서 노생은 집안이 좋은 청하 최씨의 딸과 결혼하게 되고, 이듬해 진사시에 응시하여(擧進士) 급제하여 고위 관직에 오르게 ..

고사 성어 2024.07.13

나이 들어서도 배우기를 좋아함을 비유하는 고사성어 병촉지명(炳燭之明)

나이 들어서도 배우기를 좋아함을 비유하는 고사성어 병촉지명(炳燭之明)   전한(前漢)의 유향(劉向 BC77-BC6)이 편찬한 여러 가지 이야기를 모아 놓았다는 설원(說苑)이란 교훈적인 설화집 건본편(建本篇)에 실린 글이다. 춘추시대 진평공(晉平公)이 사광(師曠)에게 내 나이 70이니 배우고 싶으나 이미 늦지 않았을까 걱정된다고 물었다. 사광이 답하는 내용이다. 少而好學 如日出之陽(소이호학 여일출지양) 壯而好學 如日中之光(장이호학 여일중지광) 老而好學 如炳燭之朙(노이호학 여병촉지명) 炳燭之明 孰與昧行乎(병촉지명 숙여매행호) 젊어서 배움을 좋아하는 것은 해가 떠오를 때의 볕과 같고, 나이 들어 배움을 좋아하는 것은 해가 중천에 떴을 때의 빛과 같으며, 늙어서 배움을 좋아하는 것은 밤에 촛불을 들어 밝은 것과..

고사 성어 2024.06.29

융통성 없이 행동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일컫는 고사성어 정인매리(鄭人買履)

융통성 없이 행동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일컫는 고사성어 정인매리(鄭人買履) 신발을 사려고 하는 정(鄭)나라 사람이 있었다. 그는 먼저 자기 발의 크기를 재고 종이에 기록하고, 그 종이를 앉은 자리에 두었다. 그 치수를 잰 것을 가져가는 것을 잊고 시장에 도착했다.시장에서 신발을 들고는 “발의 크기를 적은 종이를 잊었네!” 하고는 집으로 돌아와 그것을 가지고 다시 시장에 갔으나 장이 이미 끝나서 결국 신발을 사지 못했다.어떤 사람이 “어찌 당신의 발로 그 신발의 크기를 재보지 않았습니까?” 하자 그 사람은 “치수를 적은 종이는 믿지만 내 발은 믿을 수 없다.”고 대답했다.鄭人有欲買履者, 先自度其足而置之其坐, 至之市而忘操之. 已得履, 乃曰: “吾忘持度.” 反歸取之. 及反, 市罷, 遂不得履。人曰: “何不試之以..

고사 성어 2024.06.23

욕심이 있으면 새도 그것을 알고 가까이하지 않는다는 고사성어 해옹호구(海翁好鷗)

욕심이 있으면 새도 그것을 알고 가까이하지 않는다는 고사성어 해옹호구(海翁好鷗)바닷가에 사는 어떤 사람이 갈매기를 좋아해서, 매일 아침 바닷가에 가서, 갈매기를 따라 놀았다. 갈매기가 다가오는 게 백 마리나 되었고 멈추질 않았다. 海上之人有好鷗者, 每旦之海上, 從鷗遊, 鷗之至者百住而不止.하루는 아버지가 자기도 갈매기와 놀고 싶으니 몇 마리 잡아달라고 했다. 다음날 아들이 바닷가에 나갔으나 갈매기들은 그의 머리 위를 맴돌 뿐 내려오지 않았다.其父曰: 吾聞鷗皆從汝遊, 汝取來吾玩之.” 明日之海上, 鷗舞而不下也.열자(列子) 황제편(黃帝篇)에 나온다. 한낱 미물인 갈매기도 사람이 사심 없이 대하면 함께하지만 욕심을 앞세우면 가까이 다가오지 않듯 자연에 융화되려면 사심을 버려야 한다는 가르침이다. 자연이나 생물을 ..

고사 성어 2024.06.15

어리석은 사람도 한 번쯤 쓸모 있는 생각을 하게 된다는 고사성어 우자일득(愚者一得)

어리석은 사람도 한 번쯤 쓸모 있는 생각을 하게 된다는 고사성어 우자일득(愚者一得)한나라 유방을 보좌했던 한신(韓信)이 조(趙)나라의 20만 대군을 물리치고 조나라의 책사(策士) 이좌거(李左車)를 사로잡았다. 한신은 승자(勝者)의 건방짐이 없이 겸손한 태도로 간청하여 적의 참모인 이좌거(李左車)를 군사로 영입한다.한신(韓信)이 이좌거(李左車)에게 장차 연나라와 제나라를 제압할 방안을 묻자 그가 여러 차례 사양하다가 이 말을 인용하며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했다.“智者千慮 必有一失 슬기로운 사람도 천 번 생각에 한 번의 실수가 있을 수 있고, 愚者千慮 必有一得 어리석은 사람도 천 번 생각하여 한 번은 맞힐 수 있습니다. 제가 비록 어리석으나 한 말씀 올리겠습니다.”책사(策士)는 명석한 두뇌의 전략적 사고를 가..

고사 성어 2024.06.08

낮고 속된 일에 재능이 많음을 이르는 고사성어 다능비사(多能鄙事)

낮고 속된 일에 재능이 많음을 이르는 고사성어 다능비사(多能鄙事)공자(孔子)는 사생아로 태어났다. 공자는 거칠고 천한 일에 종사하면서 불우한 소년시절을 보냈다. 특별한 스승 없이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서 배웠다. 그 중에는 주(朱)나라의 노자(老子)도 포함되었다. 논어(論語) 자한편(自汗篇)에 나온다.나라의 정치를 총괄하는 직책에 있는 자가 자공에게 물었다. “공자께서는 성인이신가요? 어찌 그리도 다재다능한가요?” 子貢曰(자공왈) 固天終之將聖(고천종지장성) 又多能也(우다능야) 자공이 대답했다.“진실로 하늘이 내리신 성인일 것이요. 게다가 능력도 많으신 것이다.”自聞之曰(자문지왈) 太宰知我乎(태재지아호) 吾少也賤(오소야천) 故(고) 多能鄙事(다능비사) 君子多乎哉(군자다호재) 不多也(부다야)공자께서 듣고 말씀..

고사 성어 2024.06.01

완벽한 준비로 늦는 것보다는 실수하는 행동이 낫다는 고사성어 교지졸속(巧遲拙速)

완벽한 준비로 늦는 것보다는 실수하는 행동이 낫다는 고사성어 교지졸속(巧遲拙速) 전쟁터에서는 상대의 허를 찌르는 속전속결(速戰速決)이 중요하며 이를 적절히 운용하는 장수가 승리한다. 손자병법(孫子兵法)에서 하는 말이다.교지(巧遲)는 전쟁에서 교묘한 전략만 따지다가 때를 놓치는 것을 말하고 졸속(拙速)전략이 완벽하지 않더라도 때를 놓치지 않고 속전속결 하는 것을 말한다. 교지졸속(巧遲拙速)은 본래 교지불여졸속(巧遲不如拙速)을 줄인 말로 ‘군사를 운영함에 있어 교묘하나 늦는 것은 조금 서툴러도 빠른 것만 못하다’라는 뜻이다.손자병법(孫子兵法)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교지졸속(巧遲拙速)이다. 교지졸속(巧遲拙速)이란 완벽한 준비로 늦는 것보다는 실수하는 행동이 낫다는 뜻으로, 뛰어나지만 행동이 굼뜬 것보다 조금..

고사 성어 2024.05.25

명분에 사로잡혀 실질을 잃어버린다는 고사성어 초비수부(楚妃守符)

명분에 사로잡혀 실질을 잃어버린다는 고사성어 초비수부(楚妃守符)초(楚)나라 소왕(昭王)이 지방을 순시할 때 부인도 함께 갔는데 부인을 물 위의 누대(樓臺)인 점대(漸臺)에 머물러 있게 하고 그 자리를 떠난 일이 있었다. 부인이 물놀이를 하던 중에 갑자기 강물이 불어 꼼짝도 못하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이에 왕이 급히 사자(使者)를 시켜 데려오라고 했는데, 사자(使者)가 그만 깜빡 잊고 왕의 명령임을 증명하는 징표인 부(符)를 갖고 가지 않았다.사자(使者)가 누대에 이르러 물이 불어나 위태로우니 빨리 나올 것을 청하니 부인은 왕의 명령이라는 사실을 알 수 없다며 그 사람을 따라가기를 거절했다. 사자가 다급히 부(符)를 가지러 달려간 사이에 부인은 그만 불어난 강물에 떠내려가 죽고 말았다.王出遊, 留夫人漸臺..

고사 성어 2024.05.18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모두 내 탓이라는 고사성어 창랑자취(滄浪自取)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모두 내 탓이라는 고사성어 창랑자취(滄浪自取)전국시대 초(楚)나라의 정치가이자 중국 역사상 위대한 애국 시인인 굴원(屈原 BC340-BC278)의 초사(楚辭)에 나오는 글이다. 滄浪之水淸兮(창랑지수청혜) 可以濯吾纓(가이탁오영) 滄浪之水濁兮(창랑지수탁혜) 可以濯吾足(가이탁오족) 창랑의 물이 맑으면 내 갓끈을 씻고 창랑의 물이 흐리면 내 발을 씻으리라.  창랑(滄浪)이 갓끈을 씻는 대우를 받느냐, 발을 씻는 대우를 받느냐 하는 것은 창랑의 상태에 달렸다는 것으로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대하느냐는 내가 하기 나름이라는 뜻으로 쓰인다.굴원(屈原)의 초사(楚辭)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창랑자취(滄浪自取)이다.창랑자취(滄浪自取)란 좋은 말을 듣거나 나쁜 말을 들음이 모두 자기의 잘잘못에 달렸..

고사 성어 2024.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