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신부인필(申夫人筆)의 노화수금도(蘆花水禽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신부인필(申夫人筆) 노화수금도(蘆花水禽圖) 사임당(師任堂) 신씨(申氏)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은 유교적 여성상에서 독립된 여성으로서의 삶을 개척하였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신사임당(申師任堂)은 비록 여성이지만 선비 문인화가들의 전유물이었던 시(詩),.. 역사 산책 2020.03.10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일호(一濠) 남계우(南啓宇)의 호접도부채(蝴蝶圖扇) 우리 미술관 옛그림 일호(一濠) 남계우(南啓宇 1811-1888) 호접도부채(蝴蝶圖扇) 일호(一濠) 남계우(南啓宇 1811-1890)의 호접도부채(蝴蝶圖扇)이다. 남계우(南啓宇)는 산수화도 그렸으나 평생 나비와 꽃 그림을 즐겨 그렸으며 조선시대 나비 그림의 제1인자로서 남나비(南蝶)라는 별명으로 더 .. 역사 산책 2020.02.08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긍제(兢齊) 김득신(金得臣)의 반상도(班常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긍제(兢齊) 김득신(金得臣 1754-1822) <반상도(班常圖)> 조선시대 후기의 화가인 긍제(兢齊) 김득신(金得臣 1754-1822)은 국가에서 녹봉을 받는 도화서(圖畵署) 화원 출신으로 초도 첨절제사(椒島 僉節制使)에 이르렀습니다. 긍제(兢齊)라는 호는 전전긍긍(戰戰兢兢)이라.. 역사 산책 2019.11.07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긍제(兢齊) 김득신(金得臣)의 밀희투전도(密戱鬪錢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긍제(兢齊) 김득신(金得臣 1754-1822) <밀희투전도(密戱鬪錢圖)> 조선시대 후기의 화가인 긍제(兢齊) 김득신(金得臣 1754-1822)은 선배 화가인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의 영향을 매우 많이 받은 인물입니다. 그러나 이 그림 밀희투전도(密戱鬪錢圖)는 김홍도(.. 역사 산책 2019.10.22
우리 미술관 -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의 진단타려도(陳摶墮驢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 1668-1715) <진단타려도(陳摶墮驢圖)> 이 그림은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 1668-1715) 진단타려도(陳摶墮驢圖)라는 고사인물도(故事人物圖)입니다. 희이선생(希夷先生) 진단(陳摶 872-989)이 나귀를 타고 길을 가던 중 깜짝 놀라 나귀에서 떨어.. 역사 산책 2019.10.08
우리 미술관 옛그림 -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의 묵죽도(墨竹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 <묵죽도(墨竹圖)>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의 묵죽도(墨竹圖)입니다. 김홍도(金弘道)의 묵죽도(墨竹圖)는 거의 남아있지 않습니다. 이 묵죽도(墨竹圖)는 탄은(灘隱) 이정(李霆) 묵죽화(墨竹畵), 수은 유덕장 필 묵죽도(峀.. 역사 산책 2019.09.26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중봉(中峰) 혜호(慧皓)의 모사(模寫) <삿갓 쓰고 나막신 신은 소동파(蘇東坡笠屐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중봉(中峰) 혜호(慧皓)의 모사(模寫) <삿갓 쓰고 나막신 신은 소동파(蘇東坡笠屐圖)> 중봉(中峰) 혜호(慧皓)는 서울 봉은사(奉恩寺)의 화승(畵僧)이었습니다. 이 그림은 말 그대로 '삿갓 쓰고 나막신 신은 소동파(蘇東坡)', 소동파입극도(蘇東坡笠屐圖)입니다. '소문.. 역사 산책 2019.09.10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유춘(有春) 이인문(李寅文)의 목양취소도(牧羊吹簫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유춘(有春) 이인문(李寅文 1745-1821) <목양취소도(牧羊吹簫圖)> 조선 후기 도화서(圖畵署) 화원인 유춘(有春) 이인문(李寅文 1745-1821)은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1745-1806)와 동갑 화원으로 가깝게 지냈으며, 산수, 포도, 영모(翎毛), 도석인물(道釋人物) 등 다방면에 걸.. 역사 산책 2019.09.01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작자미상(作者未祥)의 죽학도(竹鶴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작자미상(作者未祥) <죽학도(竹鶴圖)> 작자미상(作者未祥)의 죽학도(竹鶴圖)입니다. 소나무가 그려져 있으면 송학도(松鶴圖)이지만 소나무 대신 대나무를 그렸으니 죽학도(竹鶴圖)가 됩니다. 대나무 죽(竹)은 축하의 축(祝)과 중국 음(音)이 같아서 대나무(竹)와 학.. 카테고리 없음 2019.08.28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창강(滄江) 조속(趙涑)의 화조도(花鳥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창강(滄江) 조속(趙涑 1595-1668) <화조도(花鳥圖)> 조선 시대에 미술 중에서도 회화는 우리 나라 미술사상 가장 크게 발전을 한 시기입니다. 건국 초부터 도화원(圖畵圓)이 설치되었고 이를 중심으로 회화미술이 꽃피게 되었습니다. 상당수의 사대부(士大夫) 화가들.. 역사 산책 2019.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