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미술관 옛그림 - 김홍도의 <송하맹호도(松下猛虎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김홍도(金弘道 1745 - 1806) <송하맹호도(松下猛虎圖)> 이 그림에는 대단한 것이 있습니다. 아주 정중하고 치밀하게 그린 그림입니다. 호랑이의 털 하나하나가 살아있습니다. 아주 가는 붓으로 수천번의 붓질을 통해 호랑이의 털을 묘사한 것에 감탄을 금하지 못한다.. 역사 산책 2016.08.20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고구려 벽화 강서대묘(江西大墓)의 사신도(四神圖) <북쪽의 현무(玄武)> 우리 미술관 옛그림 고구려 벽화 강서대묘(江西大墓)의 사신도(四神圖) <북쪽의 현무(玄武)> 무덤 속을 지키는 네 가지 신령스런 동물의 그림인 고구려 벽화의 사신도(四神圖)입니다. 동쪽의 청룡(靑龍), 청룡(靑龍)은 본래가 상상의 동물로서 몸에는 뱀의 비늘로 문양을 넣고 머리에 .. 역사 산책 2016.08.19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고구려 벽화 강서대묘(江西大墓)의 사신도(四神圖) <남쪽의 주작(朱雀)> 우리 미술관 옛그림 고구려 벽화 강서대묘(江西大墓)의 사신도(四神圖) <남쪽의 주작(朱雀)> 무덤 속을 지키는 네 가지 신령스런 동물의 그림인 고구려 벽화의 사신도(四神圖)입니다. 동쪽의 청룡(靑龍), 서쪽의 백호(白虎), 남쪽의 주작(朱雀), 북쪽의 현무(玄武)의 그림을 말합니다. 청.. 역사 산책 2016.08.18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고구려 벽화 강서대묘(江西大墓)의 사신도(四神圖) <동쪽의 청룡(靑龍)> 우리 미술관 옛그림 고구려 벽화 강서대묘(江西大墓)의 사신도(四神圖) <동쪽의 청룡(靑龍)> 고구려 벽화의 사신도(四神圖)란 무덤 속을 지키고 있는 네 가지 신령스런 동물의 그림을 일컫는 말입니다. 동쪽의 청룡(靑龍), 서쪽의 백호(白虎), 남쪽의 주작(朱雀), 북쪽의 현무(玄武)를 .. 역사 산책 2016.08.17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고구려 벽화 강서대묘(江西大墓)의 사신도(四神圖) <서쪽의 백호(白虎)> 우리 미술관 옛그림 고구려 벽화 강서대묘(江西大墓)의 사신도(四神圖) <서쪽의 백호(白虎)> 고구려 벽화의 사신도(四神圖)란 무덤 속을 지키고 있는 네 가지 신령스런 동물의 그림을 일컫는 말입니다. 동쪽의 청룡(靑龍), 서쪽의 백호(白虎), 남쪽의 주작(朱雀), 북쪽의 현무(玄武)를 말.. 역사 산책 2016.08.16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심사정의 <파초괴석도(芭蕉傀石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심사정(沈師正 1707 - 1769) <파초괴석도(芭蕉傀石圖)> 부드럽게 퍼진 돌뭉치, 옴팡지지 않은 파초 잎, 낮게 내려 앉은 잠자리, 기운이 생동하는 풀과 벌레가 등장하는 그림입니다. 갓맑고 스산한 느낌을 담청색으로 우려냈습니다. 머리를 풀어헤친 듯한 파초의 잎은 .. 역사 산책 2016.08.12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정선의 <추일한묘(秋日閑猫)> 우리 미술관 옛그림 정선(鄭歚 1676 - 1759) <추일한묘(秋日閑猫)> 겸재(謙齋) 정선(鄭歚 1676 - 1759)은 우리에게 금강전도(金剛全圖)나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와 같은 진경산수화로 널리 알려진 조선 시대 화가입니다. 가을날 한가로운 고양이를 뜻하는 추일한묘(秋日閑猫)는 겸재.. 역사 산책 2016.08.11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심사정의 <패초추묘(敗焦秋猫)> 우리 미술관 옛그림 심사정(沈師正 1707 - 1769) <패초추묘(敗焦秋猫)> 패초추묘(敗焦秋猫)란 찢어진 파초와 가을 고양이라는 뜻입니다. 이 그림은 보기 드물게 짙은 채색을 한 그림입니다. 현재(玄齊)라는 백문인장과 이숙(頤叔)이라는 주문인장이 찍혀 있습니다. 심사정(沈師正 1707 .. 역사 산책 2016.08.10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김식의 <우도(牛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김식(金埴 1579 - 1662) <우도(牛圖)> 소는 덩치와 달리 성품이 온순하고 우직합니다. 그래서 사람의 말을 잘 듣는 짐승입니다. 그래서 옛 조상들은 소를 한가족처럼 소중하게 여겨 생구(生口)라 불렀습니다. 김식(金埴)은 조선 중기의 선비 화가로 조선 시대의 웬만한.. 역사 산책 2016.08.08
우리 미술관 옛그림 - 변상벽의 묘작도(猫雀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변상벽(卞相璧 1730 - 1775) <묘작도(猫雀圖)> 조선 후기의 화가인 변상벽(卞相璧 ? - ?)은 영조 시대를 대표하는 초상화가입니다. 임금의 초상을 제작하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것을 계기로 현감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변상벽(卞相璧)은 초상화를 잘 그려 국수(國.. 역사 산책 2016.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