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미술관 옛그림 -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의 <불수앵무(佛手鸚鵡)> 우리 미술관 옛그림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 1843-1897) <불수앵무(佛手鸚鵡)>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의 <불수앵무(佛手鸚鵡)>라는 화조도(花鳥圖)입니다. 불수앵무(佛手鸚鵡)는 '부처의 손'이라는 불수(佛手)와 앵무새의 앵무(鸚鵡)입니다. 불수앵무(佛手鸚鵡)에는 불수감(佛手.. 역사 산책 2018.08.18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소당(小塘) 이재관(李在寬)의 오수도(午睡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소당(小塘) 이재관(李在寬 1783-1837) 오수도(午睡圖) 소당(小塘) 이재관(李在寬 1783-1837)의 오수도(午睡圖)입니다. 오수도(午睡圖)는 물 흐르듯 변화무쌍하고 자연스럽게 그어나간 먹선(墨線)의 세련된 움직임이 돋보이는 그림입니다. 소당(小塘) 이재관(李在寬)은 일찍이.. 역사 산책 2018.08.14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작가 미상 서생(書生)과 처녀 우리 미술관 옛그림 작가 미상 <서생(書生)과 처녀> 이름 모를 화가가 그린 풍속화(風俗畵)로 '서생(書生)과 처녀'라는 그림입니다. 창호지 너머로 등잔 불빛이 어른거리는 방에서 서생(書生)이 글을 읽고 있습니다. 사립문에 얽어 놓은 가닥까지 환하니 달빛이 꽤나 밝은 날인 것 같습.. 역사 산책 2018.08.06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관아재(觀我齋) 조영석(趙榮祏)의 송작도(松鵲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관아재(觀我齋) 조영석(趙榮祏 1686-1761) 송작도(松鵲圖) 조선 후기의 문인 화가인 조영석(趙榮祏 1686-1761)은 자(字)를 종보(宗甫) 호가 관아재(觀我齊)로 숙종, 영조에 걸쳐 활약한 대표적인 사대부 화가입니다. 겸재(謙齋) 정선(鄭敾),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과 함께 .. 역사 산책 2018.07.30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의 <추남극노인도(秋南極老人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 1843-1897) <추남극노인도(秋南極老人圖)>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의 <추남극노인도(秋南極老人圖)>라는 신선도(神仙圖)입니다. 그림에 관해서만큼은 장승업(張承業)의 열정과 자부심을 따라올 자가 있었을까요. 조선의 화단에는 단.. 역사 산책 2018.07.25
우리 미술관 옛그림 -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병국도(病菊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 1710-1760) 병국도(病菊圖)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 1710-1760)의 병국도(病菊圖)입니다.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은 가난했습니다. 서른 넘어 친구들이 남산에 마련해준 초가 한 채를 얻었는데 문설주가 낮아 드나들 때 머리를 숙.. 역사 산책 2018.07.16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익지(益之) 이명욱(李明郁)의 어초문답도(漁樵問答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익지(益之) 이명욱(李明郁 ?-?) 어초문답도(漁樵問答圖) 조선 중기의 화가 익지(益之) 이명욱(李明郁 ?-?)이 그린 어초문답도(漁樵問答圖)는 나무꾼과 어부의 대화 장면을 그린 고사인물화입니다. 익지(益之) 이명욱(李明郁)의 작품은 어초문답도(漁樵問答圖)가 유일합.. 역사 산책 2018.07.06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겸재(謙齋) 정선(鄭敾)의 독서여가도(讀書餘暇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독서여가도(讀書餘暇圖)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독서여가도(讀書餘暇圖) 입니다. 이 그림은 직접적으로 골몰하듯 책을 읽는 장면에서 벗어나 여가의 모습이 완연합니다. 독서에 몰입했다가 풀려나 쉴 짬을 찾은 모습이 자세에서 .. 역사 산책 2018.06.27
우리 미술관 옛그림 - 화산관(華山館) 이명기(李命基)의 송하독서도(松下讀書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화산관(華山館) 이명기(李命基 1756-?) 송하독서도(松下讀書圖) 조선조 18세기 후반 정조대 초상화는 서양화법과 전통 초상화법을 성공적으로 절충시킴으로써 사실성과 한국초상화 특유의 아름다움을 잘 살려낸 것으로 평가됩니다. 이러한 정조대 초상화풍을 이끈 대.. 역사 산책 2018.06.20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의 채과도(菜果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 1668-1715) 채과도(菜果圖)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 1668-1715) 채과도(菜果圖)입니다. 이 그림은 윤두서(尹斗緖)의 예술 사상이 가장 잘 표현되었다고 합니다. 윤두서(尹斗緖)의 채과도(菜果圖)는 진정한 의미의 근대적 정물화(靜物畵)의 탄생을 .. 역사 산책 2018.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