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 유혹에 빠지지 않고 근심하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는다 유혹에 빠지지 않고 근심하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는다 子曰 知者不惑 지자불혹 仁者不憂 인자불우 勇者不懼 용자불구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지혜로운 사람은 유혹에 빠지지 않고 어진 사람은 근심하지 않고 용감한 사람은 두려워하지 않는다 자기 내면을 돌아보아 잘못이 없으면 무엇을 근심하고 .. 삶의 지혜 2006.08.09
논어 - 권도를 깨우치는 것이 학문의 완성이다 권도를 깨우치는 것이 학문의 완성이다 子曰 可與共學 未可與適道 가여공학 미가여적도 可與適道 未可與立 가여적도 미가여립 可與立 未可與權 가여립 미가여권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함께 공부할 수는 있어도 함께 도에 나갈 수는 없고 함께 도에 나아갈 수는 있어도 함께 뜻을 세울 수는 없고 함.. 삶의 지혜 2006.08.06
논어 - 후배보다 선배의 것을 따르겠다 후배보다 선배의 것을 따르겠다 子曰 先進於禮樂 野人也 선진어예악 야인야 後進於禮樂 君子也 후진어예악 군자야 如用之 則吾從先進 여용지 즉오종선진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선배들이 예악을 정한 것을 보고 촌스러운 사람이라 하고 후배들이 예악을 정한 것을 보고 군자다운 사람이라 하는데 .. 삶의 지혜 2006.08.04
논어 - 예가의 종문이로다 예가의 종문(禮家의 宗門)이로다 子曰 孝哉 閔子騫 효재 민자건 人不間於其父母昆第之言 인불간어기부모곤제지언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민자건은 효자로다 부모형제가 그를 칭찬하는 말에 사람들이 다른 말로 끼어들지를 못하는구나. 민자건은 여흥민씨의 시조로서 민문을 예가의 종문이라고 일.. 삶의 지혜 2006.08.03
논어 - 말의 흠집은 없앨 수 없다 말의 흠집은 없앨 수 없다 白圭之점(王占) 尙可磨也 백규지점 상가마야 斯言之점(王占) 不可爲也 사언지점 불가위야 백옥 홀에 난 흠집은 그래도 갈면 없앨 수 있지만 말의 흠집은 없앨 수 없네 시경에 나오는 남용의 시이다. 말을 신중하게 하는 사람은 믿을 만한 사람이다. 공자 역시 남용이 이 시를 .. 삶의 지혜 2006.07.31
논어 - 사는 것도 모르는데 죽음을 알 수 있겠는가 사는 것도 모르는데 죽음을 알 수 있겠는가 問事鬼神 문사귀신 子曰 未能事人 焉能事鬼 미능사인 언능사귀 敢問死 曰 감문사 未知生 焉知死 미지생 언지사 귀신을 섬기는 것에 대해 물으니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사람도 제대로 섬기지 못하는데 어찌 귀신을 섬길 수 있겠느냐 죽음에 대해 감히 물으니.. 삶의 지혜 2006.07.27
논어 - 어리석음은 지식이 부족한 것이다 어 리 석 음 은 지 식 이 부 족 한 것 이 다 柴也愚 參也魯 시야우 삼야노 師也璧 由也諺 사야벽 유야언 시는 어리석고 삼은 노둔하고 사는 한 쪽만 잘하고 유는 거칠다 제자들의 특징을 말하여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라는 말이다. 여기서 말하는 시는 자고, 삼은 증삼, 사는 자장, 유는 자로를 말.. 삶의 지혜 2006.07.25
논어 - 어려워 말고 자신 있는 것을 말하여라 어려워 말고 자신 있는 것을 말하여라 子曰 以吾一日長乎爾 毋吾以也 이오일일장호이 무오이야 居則曰不吾知也 如或知爾 거즉왈불오지야 여혹지이 則何以哉 즉하이재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내가 너희들보다 며칠 더 오래 살았다 해서 나를 어려워하지 말라 평소에 내가 너희들을 몰라준다고 말들.. 삶의 지혜 2006.07.24
논어 - 인은 자기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는 것 인은 자기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는 것 子曰 克己復禮爲仁 극기복례위인 一日克己復禮 일일극기복례 天下歸仁焉 천하귀인언 爲仁由己 위인유기 而由人乎哉 이유인호재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자기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는 것이 인을 실현하는 것이다. 하루라도 자기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면 천하 사.. 삶의 지혜 2006.07.22
논어 - 자기가 내키지 않으면 남에게 시키지 말아라 자기가 내키지 않으면 남에게 시키지 말아라 子曰 出門如見大賓 출문여견대빈 使民如乘大祭 사민여승대제 己所不欲 勿施於人 기소불욕 물시어인 在邦無怨 在家無怨 재방무원 재가무원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집문을 나서면 누구에게라도 큰 손님을 맞이하듯 하고 백성에게 일을 시킬 때는 큰 제사.. 삶의 지혜 2006.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