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 옳지 못한 것이 있으면 즉시 고쳐라 옳지 못한 것이 있으면 즉시 고쳐라 子曰 德之不修 學之不講 덕지불수 학지불강 聞義不能徙 문의불능사 不善不能改 불선불능개 是吾憂也 시오우야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덕이 닦여지지 않고 학문이 강론되지 않고 옳은 것을 듣고도 그리 옮기지 않고 옳지 못한 것이 있어도 고치지 못하는 것을 나.. 삶의 지혜 2006.11.21
논어 - 도·덕·인·예를 추구하라 도·덕·인·예를 추구하라 子曰 志於道 지어도 據於德 거어덕 依於仁 의어인 游於藝 유어예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도에 뜻을 두며 덕을 굳게 지키며 인에 의지하며 예에서 노닐어야 한다. 생활 자세를 말하는 것으로 인간이 도달할 최선의 경지를 일컫는 말이다. 덕은 도에 뜻을 둠으로 인해 얻게 .. 삶의 지혜 2006.11.09
논어 - 능력을 펼칠 때와 감출 때를 알아라 능력을 펼칠 때와 감출 때를 알아라 子曰 用之則行 용지즉행 舍之則藏 사지즉장 惟我與爾有是夫 유아여이유시부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를 써주면 나의 능력을 펼쳐 행하고 나를 버리면 나의 능력을 감추고 은거하라. 나와 너만이 그런 사내라고 생각되는구나. 공자가 안연에게 한 말이다. 정치를 .. 삶의 지혜 2006.11.06
논어 -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하라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하라 子曰 富而可究也 부이가구야 雖執鞭之士 吾亦爲之 수집편지사 오역위지 如不可求 從吾所好 여불가구 종오소호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부유함을 추구하여 얻을 수 있다면 채찍을 쥐고 말이나 소를 모는 일이라도 나는 하겠지만 얻을 수 없다면 내가 좋아하는 것을 하겠다. .. 삶의 지혜 2006.11.01
논어 - 도를 알면 늙음이 다가오는 것도 모른다 도를 알면 늙음이 다가오는 것도 모른다 子曰 女奚不曰 其爲人也 여해불왈 기위인야 發憤忘食 樂以忘憂 발분망식 락이망우 不知老之將至云 부지노지장지운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너는 어찌하여 사람됨은 분발하면 먹는 것도 잊고 즐거움으로 걱정거리를 잊고 늙음이 장차 다가오리라는 것도 모른.. 삶의 지혜 2006.10.30
논어 - 팔굽혀 베고 눕더라도 그 안에 즐거움이 있다 팔굽혀 베고 눕더라도 그 안에 즐거움이 있다 子曰 飯疏食 飮水 반소식 음수 曲肱而枕之 樂亦在其中矣 곡굉이침지 낙역재기중의 不義而富且貴 於我如浮雲 불의이부차귀 어아여부운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물밥 먹고 물 마시며 팔굽혀 베고 눕더라도 즐거움이 그 안에 있으니 부정하게 부유하고 .. 삶의 지혜 2006.10.27
논어 - 태어나면서 아는 사람은 없다. 태어나면서 아는 사람은 없다 子曰 我非生而知之者 아비생이지지자 好古敏以求知者也 호고민이구지자야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는 나면서부터 알던 사람이 아니라 옛 것을 좋아해 부지런히 추구하는 사람이다. 나면서부터 아는 것이 최상이요 배워서 아는 것이 그 다음이요 막혀서 배우는 것이 .. 삶의 지혜 2006.10.23
논어 - 진리는 상식에 있다 진리는 상식에 있다 子不語怪力亂神 자불어괴력난신 공자께서는 괴이함, 힘셈, 문란함, 귀신 등에 관하여는 말씀하지 않으셨다. 힘이 세다는 것은 비상하게 힘이 센 평상의 상식을 벗어난 괴력을 말하고 문란하다는 것은 질서와 도리를 벗어난 것을 말한다. 진리는 평상의 이치와 상식에 있다하여 상.. 삶의 지혜 2006.10.18
논어 - 일상 어디에나 나의 스승은 존재한다 일상 어디에나 나의 스승은 존재한다 子曰 三人行 必有我師焉 삼인행 필유아사언 擇其善者而從之 택기선자이종지 其不善者而改之 기불선자이개지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으리니 그중의 옳은 사람을 가려 따르고 그중의 옳지 않은 사람을 가려 내 잘못을 .. 삶의 지혜 2006.10.16
논어 - 명은 하늘에 있다 명은 하늘에 있다 子曰 天生德於子 천생덕어자 桓堆其如予何 환퇴기여여하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하늘이 나에게 덕을 내려 주셨는데 환퇴가 어찌할 수 있겠느냐. 공자가 조나라를 떠나 송나라에 가서 큰 나무 아래서 제자들과 예를 강론하고 있었다. 이때 송나라 경공이 총애하던 신하로 사마의 직.. 삶의 지혜 2006.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