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 갖추어야 할 네 가지 덕목 갖추어야 할 네 가지 덕목 子以四敎 자이사교 文行忠信 문행충신 공자는 제자들에게 네 가지를 가르쳤으니 문학, 실천, 성실, 신의였다. 사람이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덕행, 언어, 정치, 문학 등의 네 가지를 말하였다. 인격과 덕망을 완성하여 바른 심성과 가치관으로 법도와 모범을 보여주어야 한다. .. 삶의 지혜 2006.10.11
논어 - 선한 사람을 만나기를 기대한다 선한 사람을 만나기를 기대한다 子曰 善人吾不得而見之矣 선인오부득이견지의 得見有恒者 斯可矣 득견유항자 사가의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선한 사람은 내가 만날 수 없더라도 언제나 마음이 변치않는 사람이라도 만날 수 있다면 괜찮을 것이다. 선한 사람이란 바른 심성과 가치관으로 사회의 화.. 삶의 지혜 2006.10.09
논어 - 많이 들어 좋은 것을 가려 따른다 많이 들어 좋은 것을 가려 따른다 子曰 蓋有不知而作之者 我無是也 개유부지이작지자 아무시야 多聞 擇其善者而從之 다문 택기선자이종지 多見而識之 知之次也 다견이식지 지이차야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모르면서 함부로 창작하는 것이 있겠는가? 나는 이런 일이 없다. 많이 들어 그 중 좋은 것을.. 삶의 지혜 2006.09.27
논어 - 군자는 평탄하며 소인은 걱정한다 군자는 평탄하며 소인은 걱정한다 子曰 君子坦蕩蕩 군자탄탕탕 小人長戚戚 소인장척척 군자는 탁 트여 여유롭고 평탄하며 소인은 꽉 막혀 근심하고 걱정한다. 군자는 부귀영화에 뜻을 두지 않고 어떤 상황에 처해서나 인간의 바른 길을 갈 것에 뜻을 두니 항상 마음이 여유롭고 평탄하다. 그러나 소.. 삶의 지혜 2006.09.25
논어 - 지켜야 할 것도 절도가 있어야 한다 지켜야 할 것도 절도가 있어야 한다 子曰 恭而無禮則勞 공이무례즉로 愼而無禮則諰 신이무례즉시 勇而無禮則亂 용이무례즉난 直而無禮則絞 직이무례즉교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공손함도 절도가 없으면 피로해지고 신중함도 절도가 없으면 두려워지고 용감함도 절도가 없으면 문란해지고 .. 삶의 지혜 2006.09.21
논어 - 교만하고 인색하면 볼 것이 없다 교만하고 인색하면 볼 것이 없다 子曰 如有周公之才之美 여유주공지재지미 使驕且吝 其餘不足觀也已 사교차린 기여부족관야이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주공과 같은 훌륭한 재능을 갖추어도 교만하고 인색하면 그 나머지는 볼 것이 없다. 중국 문화 창달의 위대한 업적을 남긴 주공은 공자가 성인으.. 삶의 지혜 2006.09.11
논어 - 배움의 목적은 부와 명성을 얻는 것에 있지 않다 배움의 목적은 부와 명성을 얻는 것에 있지 않다 子曰 三年學 不至於穀 삼년학 부지어곡 不易得也 불이득야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삼 년을 공부하고 봉록에 뜻을 두지 않는 사람을 얻기가 쉽지 않다. 공부를 하여 능력과 인격을 갖추면 이를 필요로 하는 자리에 올라 재산을 모우고 부유하게 되는 것.. 삶의 지혜 2006.09.08
그 지위에 있지 아니하면 말하지 말라 그 지위에 있지 아니하면 말하지 말라 子曰 不在其位 不謨其政 부재기위 불모기정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그 지위에 있지 않으면 그 정책을 논하지 말아야 한다. 현재 자신의 위치와 임무에 충실히 하라는 말이다. 실제로 책임이 없는 사람이 공공연히 정책을 입안하고 추진하려는 것은 부당하다는 .. 삶의 지혜 2006.09.07
논어 - 성실하지 못하면 아무 발전이 없다 성실하지 못하면 아무 발전이 없다 子曰 狂而不直 侗而不愿 광이불직 동이불원 悾悾而不信 吾不知之矣 공공이불신 오불지지의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열광하여 매달리면서 곧지 못하고 무지하면서 부지런하지 못하고 무능하면서 성실하지 못하면 나는 모르겠다. 일에는 순서가 .. 삶의 지혜 2006.09.05
논어 - 섣부른 성취에 만족하지 말라 섣부른 성취에 만족하지 말라 子曰 學如不及 猶恐失之 학여불급 유공실지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공부는 도저히 따르지 못할 것처럼 하고 오히려 잃을까봐 두려워해야 한다. 따르지 못할 것처럼 하라는 것은 섣부른 성취에 만족하지 말고 더 나은 성취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는 말이다. 잃을.. 삶의 지혜 2006.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