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욕(物慾)은 마치 신기루와 같습니다 물욕(物慾)은 마치 신기루와 같습니다 사람은 태어날 때 도덕성(道德性)을 타고 나기 때문에 도덕(道德)에 타당한 행위를 보면 아름답게 여길 줄 알고, 도덕(道德)에 어긋난 행위를 보면 싫어할 줄 압니다. 그러나 사람의 마음이 욕심에 이끌리면 물욕(物慾)에서 헤어나지 못하다가 마침내.. 삶의 지혜 2015.10.07
말은 살아있는 자가 향유할 수 있는 기쁨이며 재산입니다 말은 살아있는 자가 향유할 수 있는 기쁨이며 재산입니다 전국 시대 위나라에 장의라는 가난뱅이가 있었습니다. 입신출세의 야망을 품고 초나라 재상인 소양의 식객이 되었는데 어느날 누명을 쓰고 온몸이 상처투성이가 되고 반죽음이 되어 고향으로 돌아오니 아내가 눈물을 흘리며 책.. 삶의 지혜 2015.10.02
삶은 바로 지금의 태도와 선택의 결과로 나타날 것입니다 삶은 바로 지금의 태도와 선택의 결과로 나타날 것입니다 오늘은 그대의 선택에 달려있습니다. 그대는 모양을 만드는 조각가입니다. 오늘이 그대 앞에 모양을 이루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오늘이 어떤 모양이 될 지는 그대에게 달려있습니다. 어떤 날을 가지게 될 지는 그대가 선택하여.. 삶의 지혜 2015.09.21
이 또한 지나가리라(It shall also come to pass) 이 또한 지나가리라(It shall also come to pass) 인생에 찾아오는 큰 기쁨이나 큰 슬픔은 사람의 마음을 앗아가 버린다. 온전히 생각하도록 두지 않고 감정에 휩싸여 실수를 빗어내게 만든다. 이때 평온하고 안정되어 있으며 사물이나 상황을 냉철하게 바라보고 판단할 수 있는 마음의 상태가 .. 카테고리 없음 2015.08.21
원수를 맺지 마라 사람은 언젠가 만나게 된다 원수를 맺지 마라 사람은 언젠가 만나게 된다 중국 춘추 전국 시대 위(魏)나라에 종횡가를 꿈꾸는 범저(范雎)라는 사람이 있었다. 하지만 이름도 연줄도 없었던 탓에 기회가 오지 않았다. 범저(范雎)는 궁리 끝에 제(齊)나라에 사신으로 가는 중대부 수가(須賈)의 식객이 되었다. 범저(范雎.. 삶의 지혜 2015.08.15
나의 생각이 나의 운명이다 나의 생각이 나의 운명이다 운명이란 말처럼 인간의 가슴을 설레이게 혹은 무너져 내리게 하는 말이 또 있을까요? 그 뜻을 알 수 없고 대답 없는 말이 운명입니다. 우리는 늘 운명을 궁금해 합니다. 운명은 미지의 신앙과 같습니다. 우리의 굴곡있는 삶에서 운명은 이리 저리 시험에 들게 .. 삶의 지혜 2015.08.10
자네는 짐승을 그렇게 잘 잡으면서 왜 자신은 못 잡나? 자네는 짐승을 그렇게 잘 잡으면서 왜 자신은 못 잡나? 만약에 사람이 사소한 가르침이라도 깨뜨린다면 결국에 있어서는 중대한 가르침까지 깨뜨리게 되고 만다. 만일에 사람이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야 한다』(마태 22,39; 루카 10,27)는 가르침을 깨뜨린다면 거기에 따르는 여러 .. 삶의 지혜 2015.08.03
인생이 자신을 버려두고 스쳐지나가지는 않을까 불안하세요 인생이 자신을 버려두고 스쳐지나가지는 않을까 불안하세요 어떤 의미에서 절망은 모든 일의 중심일 수 있다. 우리가 그것을 뚫고 갈 준비가 됐다면 말이다. 우리는 하느님이 계시지 않는 시기에 대비해야 하며 거짓 하느님으로 대체하는 일이 없도록 노력해야 한다. 하느님이 부재중일 .. 삶의 지혜 2015.07.22
탐욕은 사회적인 문제이다 탐욕은 사회적인 문제이다 유태인들이 즐겨 쓰는 격언에 이런 말이 있다. 『사람이 죽어서 하느님 앞에 나설 때 가지고 갈 수 없는 것이 있다. 첫째가 돈이고, 그 다음이 친구와 친척과 가족이다. 그러나 착한 일만은 가지고 갈 수 있다.』 사람들은 살아가는 이 세상을 험악하다, 사악하.. 삶의 지혜 2015.07.17
지금 무엇이 먼저라는 것 알고 있지 않는가? 지금 무엇이 먼저라는 것 알고 있지 않는가? 『지위란 높은 나무를 타고 사방을 바라보는 것과 같다.』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의 말이다. 나무에 올라 사방을 바라보는 것은 좋으나 바람이 불면 위험하다는 뜻으로 결국 실력도 없으면서 높은 자리에 앉는다는 것은 감당할 수 없는 욕.. 삶의 지혜 2015.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