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1437

어떤 사람이라도 그럴듯한 방법으로 속일 수 있다는 고사성어 가기이방(可欺以方)

어떤 사람이라도 그럴듯한 방법으로 속일 수 있다는 고사성어 가기이방(可欺以方) 정(鄭)나라의 재상 자산이 물고기를 선물 받았다. 자산은 살아 있는 물고기를 잡아먹을 수 없어 하인에게 연못에 넣어 잘 살게 하라고 일렀다. 하지만 하인이 물고기를 날름 잡아먹고는 태연히 그렇게 하였다고 보고하니 자산은 그런 줄만 알았다. 하인이 이웃사람들에게 말했다. “누가 자산을 지혜 있는 사람이라 하는가? 내가 잡아먹은 것도 모르고 물고기가 연못에 잘 있을 거라고 좋아한다.” 맹자(孟子) 만장장구 상편(萬章章句 上篇)에 출전한 글이다. 자산은 춘추시대의 유능한 정치인으로 이름이 높았다. 가기이방(可欺以方)은 학력이 놓은 군자라 해도 세상물정에 어두우면 교활한 자들에게 속아 넘어갈 수밖에 없음을 경계하는 말이다. 맹자(孟子..

고사 성어 2024.01.09

나무를 깎아 두고 어머니를 기렸다는 고사성어 정란각목(丁蘭刻木)

나무를 깎아 두고 어머니를 기렸다는 고사성어 정란각목(丁蘭刻木) 정란(丁蘭)은 원나라 때 곽거경(郭居敬)이 지은 책 에 나오는 효자의 이름이다. 정란은 후한시대 인물로,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어머니의 품에서 자랐으며 젊어서는 불효자였다고 전해진다. 어머니가 날마다 밭으로 점심을 가져왔는데, 정란은 반드시 너무 일찍 왔느냐 늦게 왔느냐 하며 험한 말을 함부로 지껄였다. 그러다 글을 배워 깨달음을 얻었다. 마침내 개과천선하기로 마음먹은 이튿날 어머니가 점심을 가져오자 치든 채찍을 든 채로 반갑게 맞이하며 감사 인사를 올리려 했다. 하지만 어머니는 정란이 채찍으로 때리려는 줄 알고 너무 무서워 허겁지겁 도망치다가 그만 배나무에 머리를 부딪혀 죽고 말았다. 정란은 그제야 불효를 뉘우치고 목수를 불러 그 배나무를..

고사 성어 2024.01.06

은근하고 부드럽게 남을 타이르는 말을 일컫는 고사성어 손여지언(巽與之言)

은근하고 부드럽게 남을 타이르는 말을 일컫는 고사성어 손여지언(巽與之言) 法語之言(법어지언) 能無從乎(능무종호) 改之爲貴(개지위귀) 巽與之言(손여지언) 能無說乎(능무열호) 繹之爲貴(역지위귀) ​ 공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올바른 말로 일러주는 것은 따르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실제로 중요한 것은 잘못을 고치는 일이다. 공손하게 즉 완곡하게 해 주는 말에 기뻐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중요한 일은 그 참뜻을 찾아 실천하는 것이다. 기뻐하기만 하고 참뜻을 구하지 않거나 따르기만 하고 실제로 잘못을 고치지 않는다면 나도 그런 사람을 끝내 어찌할 수가 없다.” 논어(論語) 자한편(自汗篇)에 나온다. 남의 마음을 거스르지 않는 온화한 말투가 중요하다는 가르침이다. 막말을 일삼고 거친 행동으로 남에게 상처..

고사 성어 2023.12.27

어리석은 사람의 버릇은 절대 고치지 못한다는 고사성어 하우불이(下愚不移)

어리석은 사람의 버릇은 절대 고치지 못한다는 고사성어 하우불이(下愚不移) 논어(論語) 양화편(陽貨篇)에 나온다. 가장 지혜로운 사람은 세상 만물의 도(道)와 진리(眞理)를 이미 알고 있기에 변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가장 어리석은 사람은 알려고 하지 않고 배우려고 하지도 않으므로 결코 변하지 않는다. 대다수 사람은 최상급도, 최하급도 아닌 평균적인 삶을 살고 있으니 마음만 먹는다면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는 뜻이다. 子曰(자왈) 唯上知與下愚(유상지어하우) 不移(불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오직 최상급의 지혜로운 사람과 최하급의 下愚不移 어리석은 사람만이 바뀌지 않는다. 최고로 지혜로운 사람은 어리석게 되려 해도 되지 않으며, 최하로 어리석은 사람은 지혜롭게 되려 해도 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논어(論語) 양..

고사 성어 2023.12.12

일을 하면 바람이 일듯이 재빠르게 한다는 고사성어 우사생풍(遇事生風)

일을 하면 바람이 일듯이 재빠르게 한다는 고사성어 우사생풍(遇事生風) 한(漢)나라 때 조광한(趙廣漢)은 말단 관리로 시작해서 성실하고 현명한 인정받아 승진을 거듭하더니 마침내 수도를 총괄 관리하는 경조윤(京兆尹) 자리에까지 올랐다. 불의와 타협하지 않고 어떤 권력에도 굴하지 않으며 청렴결백하고 유능하였으며 오로지 나랏일을 위해 헌신한 조광한에 대해 사람들은 이렇게 평했다. “遇事生風 無所回避 일을 보면 바람이 일고 회피하는 바가 없다.” 하지만 조광한은 그러한 강직한 성품이 지나친 탓에 간신배들의 모함을 받게 되었고 결국은 모함을 받아 일찍 죽고 말았다. 한서(漢書) 조광한전(趙廣漢傳)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 우사생풍(遇事生風)이다. 우사생풍(遇事生風)이란 일을 하면 바람이 일듯이 재빠르게 한다는 뜻으로,..

고사 성어 2023.12.09

억지로 이루려고 하는 자는 일을 그르치고 만다는 고사성어 위자패지(爲者敗之)

억지로 이루려고 하는 자는 일을 그르치고 만다는 고사성어 위자패지(爲者敗之)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의 핵심은 무위자연으로, 이는 사람의 힘을 더하지 않은 그대로의 자연을 뜻한다. 노자가 주장하는 도가사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연과 인간의 합일이었다. 인위의 집착을 경계하라는 노자의 말은 도가사상의 핵심을 이루는 말이 된다.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 29장에 출전한 글이다. 將欲取天下而爲之 吾見其不得已 天下神器 不可爲也 爲者敗之 執者失之 장차 천하를 취하고자 애쓰지만, 나는 그것이 부득이한 것임을 본다. 천하는 신령스러운 그릇이라서 인위적으로는 불가하니 하나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자연의 이치를 거스르고 인위적인 조작을 하는 자는 반드시 패하고 무엇인가에 집착하여 끊임없이 잡으려고만 하는 자는 반..

고사 성어 2023.12.08

긴 목에 까마귀 부리같이 뾰족한 입이라는 고사성어 장경오훼(長頸烏喙)

긴 목에 까마귀 부리같이 뾰족한 입이라는 고사성어 장경오훼(長頸烏喙) 사기(史記) 월세가(越世家)에 전하는 이야기로 범려(范蠡)가 월왕(越王) 구천(勾踐)의 관상을 표현한 것이다. 오(吳)나라 합려(闔閭)가 월왕 구천에 의해 죽자 그의 아들 부차(夫差)는 매일 장작더미 위에서 자면서 복수의 칼을 갈았다. 이것을 안 구천이 먼저 부차를 공격하였으나 대패하고 사로잡혔다. 구천은 범려의 충고로 부차의 신하되기를 자청하였다. 십여 년이 지나 마침내 구천은 오나라를 쳐서 멸망시켰다. 큰 공헌을 한 사람은 범려였다. 범려는 상장군이 되었지만 고통을 함께 하였지만 평안은 함께 누릴 수 없다면서 구천에게 작별을 고하고 제(齊)나라로 갔다. 제나라에서 그는 자신과 절친했던 월나라의 대부 문종(文種)에게 편지를 썼다. “..

고사 성어 2023.12.06

저지른 잘못을 보면 어진지 어질지 않음을 알 수 있다는 고사성어 관과지인(觀過知仁)

저지른 잘못을 보면 어진지 어질지 않음을 알 수 있다는 고사성어 관과지인(觀過知仁) 논어(論語) 이인편(里人篇)에 나온다. 사람은 누구나 허물이 있고, 잘못을 저지른다. 어떤 사람의 과오를 보면 그의 인(仁)함을 알 수 있다. 군자의 잘못은 그의 성품이 후덕한 데서 생기지만 소인의 허물은 그의 성품이 각박하고 박덕한 데서 생긴다. 잘못을 저지른 과정을 보고 그 사람의 어질고 어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子曰(자왈) 人之過也(인지과야) 各於其黨(각어기당) 觀過(관과) 其知仁矣(지지인의)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의 과오는 관대함에서 나오고 소인의 과오는 잔인함에서 나오는 것이다. 과오를 보면 인(仁)과 불인(不仁)을 금새 알 수 있다. 논어(論語) 이인편(里人篇)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관과지인(觀過知仁..

고사 성어 2023.12.01

떨어질 수 없는 친밀한 관계를 이르는 고사성어 군신수어(君臣水魚)

떨어질 수 없는 친밀한 관계를 이르는 고사성어 군신수어(君臣水魚) 삼국 시대 때 위(魏)나라 조조(曹操)는 강북의 땅을 평정하고 오(吳)나라 손권(孫權)은 강동의 땅에 의거하여 각각 세력을 강화하고 있었다. 그러나 촉(蜀)의 유비(劉備)는 확실한 근거지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였다. 유비에게는 관우(關羽)와 장비(張飛) 등의 용장은 있었지만 모사(謀士)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한 때에 제갈공명(諸葛孔明)을 군사(軍師)로 맞이할 수 있었다. 군사(軍師) 제갈공명(諸葛孔明)은 형주(荊州)와 익주(益州)를 제압해 근거지로 삼을 것, 서쪽은 융(戎)과 화목하고 남쪽은 월(越)을 회유해 후환을 없앨 것, 정치를 고르게 하여 부국강병의 실(實)을 거둘 것, 손권과 손잡아 조조를 고립시키고, 기회를 보아 조조를 무찌를 ..

고사 성어 2023.11.18

참되고 실속 있도록 힘써 실행한다는 고사성어 무실역행(務實力行)

참되고 실속 있도록 힘써 실행한다는 고사성어 무실역행(務實力行)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 1878-1938) 선생은 나라의 일은 신성한 것이며 나라의 일을 재물 취득의 수단으로 삼는 것은 옳지 않다고 호소했다. 공직을 맡은 이들이 그의 직무를 진실하게 수행하지 않고 부당하게 재물을 축적하고 특히 우리 한국인들의 거짓과 부정이 나라를 망국의 길로 몰고 왔다고 보았다. 그래서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 선생은 잃어버린 나라를 되찾고자 독립운동을 하면서 청년들에게 무실역행(務實力行)을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가르쳤다. “죽더라도 거짓말은 하지 말자. 거짓이 우리를 망친 원수다. 모든 국민 각 개인의 가슴 속에 진실과 정직을 간직해야 한다.” 이러한 자세를 무실역행(務實力行)이라고 가르쳤다. 공리공론(空理空論..

고사 성어 2023.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