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분에 사로잡혀 실질을 잃어버린다는 고사성어 초비수부(楚妃守符)
초(楚)나라 소왕(昭王)이 지방을 순시할 때 부인도 함께 갔는데 부인을 물 위의 누대(樓臺)인 점대(漸臺)에 머물러 있게 하고 그 자리를 떠난 일이 있었다.
부인이 물놀이를 하던 중에 갑자기 강물이 불어 꼼짝도 못하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이에 왕이 급히 사자(使者)를 시켜 데려오라고 했는데, 사자(使者)가 그만 깜빡 잊고 왕의 명령임을 증명하는 징표인 부(符)를 갖고 가지 않았다.
사자(使者)가 누대에 이르러 물이 불어나 위태로우니 빨리 나올 것을 청하니 부인은 왕의 명령이라는 사실을 알 수 없다며 그 사람을 따라가기를 거절했다. 사자가 다급히 부(符)를 가지러 달려간 사이에 부인은 그만 불어난 강물에 떠내려가 죽고 말았다.
王出遊, 留夫人漸臺之上而去. 王聞江水大至, 使使者迎夫人, 忘持符, 使者至, 請夫人出. 夫人曰: 王與宮人約令, 召宮人必以符, 今使者不持符, 妾不敢從使者行. 使者曰: 今水方大至, 還而取符, 則恐後矣. 夫人曰: 妾聞之, 貞女之義不犯約, 勇者不畏死, 守一節而已, 妾知從使者必生, 留必死, 然棄約越義而求生, 不若留而死耳. 於是使者反取符, 還則水大至, 臺崩, 夫人流而死.
유향(劉向)의 열녀전(列女傳)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초비수부(楚妃守符)이다.
초비수부(楚妃守符)란 초(楚)나라 소왕(昭王)의 부인이 명분에 사로잡혀 실질(實質)을 잃음을 이르는 말이다.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낮고 속된 일에 재능이 많음을 이르는 고사성어 다능비사(多能鄙事) (0) | 2024.06.01 |
---|---|
완벽한 준비로 늦는 것보다는 실수하는 행동이 낫다는 고사성어 교지졸속(巧遲拙速) (0) | 2024.05.25 |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모두 내 탓이라는 고사성어 창랑자취(滄浪自取) (0) | 2024.05.12 |
삶을 포기하고 의를 택할 것이라는 고사성어 사생취의(捨生取義) (0) | 2024.05.04 |
쾌락에 빠져 촉나라를 생각하지 않는다는 고사성어 낙불사촉(樂不思蜀) (0) | 2024.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