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미술관 옛그림 - 수월헌(水月軒) 임희지(林熙之)의 난죽석도(蘭竹石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수월헌(水月軒) 임희지(林熙之 1765-1820) 난죽석도(蘭竹石圖) 수월헌(水月軒) 임희지(林熙之 1765-1820)의 난죽석도(蘭竹石圖)입니다. 그림에는 화가의 내면세계와 인생의 흔적이 투영되어 있습니다. 화가의 정서와 생각을 담아내는 것을 중시하는 문인화의 경우는 더욱 .. 역사 산책 2018.03.16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증번상촌장묵란도(贈樊上村庄墨蘭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 증번상촌장묵란도(贈樊上村庄墨蘭圖)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증번상촌장묵란도(贈樊上村庄墨蘭圖)입니다.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는 서른네 살의 나이에 벼슬길에 나아가 나중에는 성균관 대제학까지 올랐습니다. .. 역사 산책 2018.03.13
우리 미술관 옛그림 - 휴휴당(休休堂) 이계호(李繼祜)의 포도도(葡萄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휴휴당(休休堂) 이계호(李繼祜 1574-1645) 포도도(葡萄圖) 조선 중기 문인화가인 휴휴당(休休堂) 이계호(李繼祜 1574-1645)의 포도도(葡萄圖)입니다. 포도 그림은 자손 계승의 중요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포도는 다산(多産)의 상징입니다. 자손을 많이 낳으.. 역사 산책 2018.03.09
우리 미술관 옛그림 - 호생관(毫生館) 최북(崔北)의 서설홍청(鼠齧紅菁) 우리 미술관 옛그림 호생관(毫生館) 최북(崔北 1712-1760) 서설홍청(鼠齧紅菁) 호생관(毫生館) 최북(崔北 1712-1760)은 남이 흉내내지 못할 기인이었다고 합니다. 최북(崔北)은 별호로 칠칠(七七)이 있습니다. 자신의 이름인 북(北)을 반으로 쪼개서 지었다는 설과 최북(崔北)이 죽었을 때의 나이.. 역사 산책 2018.03.05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수월헌(水月軒) 임희지(林熙之)의 노모도(老貌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수월헌(水月軒) 임희지(林熙之 1765-1820 이후?) 노모도(老貌圖) 조선 후기 화가 수월헌(水月軒) 임희지(林熙之)는 통 큰 행보에 걸맞게 남이 헐뜯는 말에는 개의치 않았습니다. 임희지(林熙之)는 손바닥 크기의 마당에다 연못을 팠습니다. 물이 나오지 않자 그는 쌀뜨물.. 역사 산책 2018.02.28
우리 미술관 옛그림 - 호생관(毫生館) 최북(崔北)의 메추라기(鶉)와 조(粟) 우리 미술관 옛그림 호생관(毫生館) 최북(崔北 1712-1760) 메추라기(鶉)와 조(粟) 호생관(毫生館) 최북(崔北 1712-1760)의 <메추라기(鶉)와 조(粟)>라는 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최북(崔北)의 내면세계를 보는 것 같아 친숙한 느낌이 있어 애틋하고 섬세하고 사랑스럽습니다. 최북(崔北).. 역사 산책 2018.02.23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욱재(郁齋) 홍진구(洪晋龜)의 자위부과(刺蝟負瓜) 우리 미술관 옛그림 욱재(郁齋) 홍진구(洪晋龜17세기 중엽-18세기 초) 자위부과(刺蝟負瓜) 17세기 문인화가인 욱재(郁齋) 홍진구(洪晋龜 17세기 중엽-18세기 초)의 자위부과(刺蝟負瓜) 즉 <고슴도치와 오이>라는 그림입니다. 화가는 그림 위쪽에 <廣腹老樵(광복노초)>라는 글을 써놓.. 역사 산책 2018.02.19
불염재(不染齋) 김희겸(金喜謙)의 석천한유도(石泉閒遊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불염재(不染齋) 김희겸(金喜謙 ?-?) 석천한유도(石泉閒遊圖) 불염재(不染齋) 김희겸(金喜謙 ?-?)의 석천한유도(石泉閒遊圖)는 조선시대 전라우수사, 경상좌병사 등을 역임한 조선 후기 무신(武臣)인 석천(石泉) 전일상(田日祥 1700-1753)의 일상을 묘사한 풍속화입니다. 이 .. 역사 산책 2018.02.14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산상난화(蘭上蘭花) 우리 미술관 옛그림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 산상난화(蘭上蘭花)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산상난화(蘭上蘭花)입니다. 묵란(墨蘭)에 화제(畵題)를 쓴 그림입니다. 김정희(金正喜)가 난(蘭을 치고 화제(畵題)로 중국 청(淸)나라 판교(板橋) 정섭(鄭燮)의 시(詩)를 쓴 그.. 역사 산책 2018.02.12
연담(連潭) 김명국(金命國)의 은사도(隱士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연담(連潭) 김명국(金命國 ?-?) 은사도(隱士圖) 조선 최고의 신필(神筆)로 추앙받는 연담(連潭) 김명국(金命國)의 은사도(隱士圖)입니다. 김명국(金命國)의 생몰연대는 미상이며 달마도(達磨圖)를 그린 화가로 알려졌습니다. 은사도(隱士圖)는 죽음을 암시하며 그린 그.. 역사 산책 2018.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