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821

뜻이 있어 마침내 이룬다는 고사성어 유지경성(有志竟成)

뜻이 있어 마침내 이룬다는 고사성어 유지경성(有志竟成) 중국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와 수하 장수 경엄(耿弇)의 이야기이다. 경엄(耿弇)은 훗날의 광무제(光武帝)인 유수(劉秀)가 병사를 모집한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가 그의 수하가 된 뒤로 많은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경엄(耿弇)이 유수(劉秀)의 명을 받고 장보(張步)의 군대를 치러 갔을 때의 일이다. 당시 장보(張步)의 군대는 전력이 상당히 두터워 공략하기 어려운 상대였다. 어지럽게 싸우는 가운데 경엄(耿弇)은 다리에 적군의 화살을 맞았다. 그러자 경엄(耿弇)의 부하가 잠시 퇴각한 뒤에 전열을 가다듬어 다시 공격하자고 권하였다. 그러나 경엄(耿弇)은 "승리하여 술과 안주를 갖추어 주상을 영접하여야 마땅하거늘, 어찌 적을 섬멸하지 못하고 주상께 골..

고사 성어 2020.04.29

말로만 그럴듯하게 꾸미지 않고 진실하고 소박하며 정직한가요

말로만 그럴듯하게 꾸미지 않고 진실하고 소박하며 정직한가요 무위자연의 삶은 아름답게 꾸미지 않는다는 것이며, 입으로만 그럴듯하게 꾸미지 않는다는 것이며, 무엇이든 다 아는 자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며, 욕심을 부리며 혼자 차지하지 않는다는 것이며, 남과 대립해서 일을 꾸미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노자(老子) 현질(顯質)편에 실린 글입니다. 信言不美(신언불미) 美言不信(미언불신) 善者不變(선자불변) 變者不善(변자불선) 知者不博(지자불박) 博者不知(박자부지) 聖人不適(성인부적) 旣以爲人(기이위인) 己愈有(기유유) 旣以與人(기이여인) 己愈多(기유다) 天之道(천지도) 利而不害(이이불해) 聖人之道(성인지도) 爲而不爭(위이부쟁) 믿음직한 말은 아름답지 않고, 아름다운 말은 믿음직하지 못하며, 착한 사람은 달변이 아니고..

삶의 묵상 2020.04.23

꽃다발을 연상시키는 우아하고 환상적인 자태를 선사하는 장미매발톱꽃

꽃다발을 연상시키는 우아하고 환상적인 자태를 선사하는 장미매발톱꽃 https://blog.naver.com/narcciso/221853360592 삐에로의 모자같이 생겼다고「삐에로의 달」이라는 이름을 가진 매발톱꽃 삐에로의 모자같이 생겼다고「삐에로의 달」이라는 이름을 가진 매발톱꽃 아래를 향해 매달려 있는 꽃주머...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narcciso/220355914904 버림받은 여인이라는 매발톱꽃 사연을 들어보세요 버림받은 여인이라는 매발톱꽃 사연을 들어보세요 밑을 향해 매달려 있는 꽃잎 뒤쪽의 꽃뿔이라 불리는 꽃... blog.naver.com

꽃과 사진 2020.04.20

상대방이 혼란에 빠졌을 때 공격하여 취하라는 고사성어 난이취지(亂而取之)

상대방이 혼란에 빠졌을 때 공격하여 취하라는 고사성어 난이취지(亂而取之) 중국 춘추전국시대 범려(范蠡)는 월(越)나라 구천(勾踐)의 막하에 들어가서 숙적 오(吳)나라에 의해 멸망의 위기까지 내몰린월(越)나라에서 그의 임금인 구천(勾踐)을 도와 상황을 반전시켰다. 오(吳)나라 합려(闔閭)의 대군을 맞이해 활용한 전략이 바로 '利而誘之 亂而取之(이이유지 난이취지)'였다. 利而誘之 亂而取之(이이유지 난이취지)란 이익을 던져 적을 유인한 후 혼란을 만든 후 공격하여 취한다는 말이다. 속인다는 의미인 궤도(詭道) 전략으로 적을 어지럽게 만들어 어지러움을 틈타서 이익을 취한다는 뜻이다. 오(吳)나라 군사에 비해 월(越)나라의 군세는 너무나 미약하였다. 범려(范蠡)는 견고한 오(吳)나라의 진영을 파괴하기 위해 결사대..

고사 성어 2020.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