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미술관 옛그림 - 김홍도의 주막 우리 미술관 옛그림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주막> 초가집으로 된 시골 주막의 모습이다. 조선시대 선비나 일반 서민 또는 어린 남자가 즐겨쓰던 모자인 초립을 쓰고 국밥 먹는 사람은 국그릇을 기울여 가며 남은 국물을 떠 먹으려고 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밥그릇의 크기는 지금의 .. 역사 산책 2016.05.23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김홍도의 활쏘기 우리 미술관 옛그림 김홍도(金弘道 1745-1806) <활쏘기> 그림에 나오는 궁사는 좌궁이며 교관이 두 손을 궁사의 양어께에 손을 올려 놓고 자세를 일러주고 있습니다. 이 그림의 활쏘기는 현재 우리가 활쏘는 모습과는 다르다고 합니다. 궁사의 두 발을 보면 활을 잡은 쪽의 발이 앞으로 .. 역사 산책 2016.05.21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조영석의 점심 우리 미술관 옛그림 조영석(趙榮祏 1686-1761) <점심> 농부들이 농사일 중간에 점심을 먹는 그림으로 네 무리로 나누어 그려져 있습니다. 갓을 쓰고 독상을 받고 있는 마름과 아낙이 있고, 두 일꾼이 마주보며 식사를 하고 있으며, 세 사람이 광주리를 중심으로 모여 있고, 끝에는 한 .. 역사 산책 2016.05.20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김홍도의 점심 우리 미술관 옛그림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점심> 농부들이 즐거운 표정으로 점심을 먹고 있습니다. 그림 속 사람들의 표정과 자세는 매우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대부분 웃통을 벗고 있는 모습이 한여름에 논매기를 하는 도중으로 시끌벅적한 점심 시간의 즐거움이 살아 있습니다. .. 역사 산책 2016.05.18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김홍도의 장터길 우리 미술관 옛그림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장터길> 물건을 다 팔고 돌아가는 길인 듯 말을 탄 사람들의 행장이 가볍고 아무것도 싣지 않은 빈 말도 그려져 있다. 삿갓을 쓰거나 갓을 쓴 사람도 보이지만 거의 맨머리 차림이 많고 바지에는 행전을 둘러 활동하기에 편하도록 복장을 .. 역사 산책 2016.05.16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김홍도의 논갈이 우리 미술관 옛그림 김홍도(金弘道 1745-1806) <논갈이> 봄이면 논을 갈아 한해의 농사를 준비하는 농부들의 손길이 바쁜 철입니다. 웃옷을 벗어던진 농부의 팔뚝에 힘이 들어가 근육이 보이고 거기에 땀방울도 맺혀있습니다. 소를 모는 농부는 보습이 땅 깊이 들어가도록 손잡이에 힘.. 역사 산책 2016.05.15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김홍도의 빨래터 우리 미술관 옛그림 김홍도(金弘道 1745-1806) <빨래터> 아낙네 몇이 개울가에서 빨래를 하고 있습니다. 어린아이가 딸린 여인은 머리를 풀어헤쳐 감은 뒤 다시 땋고 있는 모습입니다. 앞에는 빗이 놓여 있고 어린아이는 아랫도리를 홀랑 벗고 있으며 엄마 젖을 만지고 있습니다. 물 속.. 역사 산책 2016.05.14
걸작품 풍속화로 보는 조선시대 생활상(2) 걸작품 풍속화로 보는 조선시대 생활상(2) 풍속화는 생활상을 대상으로 삼은 그림이다. 생산활동과 생활 주변의 일상사를 그린 그림이다. 삶의 풍습을 담은 풍속화는 당대 사람들의 여러 생활 양태들을 직접 회화의 대상으로 삼아 시대적 배경과 관련하여 미술사적 소중한 가치와 그림의 내용과 표현.. 역사 산책 2009.01.22
걸작품 풍속화로 보는 조선시대 생활상(1) 걸작품 풍속화로 보는 조선시대 생활상(1) 풍속화란 일정한 사회계층을 대표하는 사람들의 풍속 ·취미 ·일상생활의 모습 등을 그린 그림이다. 생활의 갖가지 모습들이 그려진 풍속화에서 당시의 풍속을 아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우리나라의 풍속화는 조선시대에 이르러 솔직 ·담백한 가운데에.. 역사 산책 2009.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