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록 잘생겼다 해도 마음가짐과 학술이 약하면 소인입니다 비록 잘생겼다 해도 마음가짐과 학술이 약하면 소인입니다 요(堯)임금은 장신인데 순(舜)임금은 단신이고 문왕(文王)은 장신인데 주공(周公)은 단신이었습니다. 위(魏)나라 때 공손여(公孫呂)라는 사람은 얼굴이 매우 길어 석 자나 되는데 그 폭은 매우 좁아 세 치밖에 안 되고, 그 속에 눈.. 삶의 묵상 2016.06.06
기도는 지쳐 있는 우리 영혼에 쉼터가 되어 줄 것입니다 기도는 지쳐 있는 우리 영혼에 쉼터가 되어 줄 것입니다 이슬람교 신비가인 패리드는 델리의 아카바 왕에게 마을을 위해 은총을 빌어달라는 이웃 사람들의 성화에 왕궁을 향해 길을 떠났습니다. 그가 궁전에 들어섰을 때 그는 기도하고 있는 아카바 왕을 발견했습니다. 이윽고 왕이 기도.. 삶의 묵상 2016.06.04
명성을 얻기 위해 달려드는 사람에게 명성은 따르지 않습니다 명성을 얻기 위해 달려드는 사람에게 명성은 따르지 않습니다 사람은 세 가지 이름을 갖는다고 합니다. 하나는 부모님이 태어날 때 지어 주신 이름입니다. 다른 하나는 친구가 우정을 담아서 부르는 이름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하나는 생애를 마칠 때까지 쌓은 행위로 얻는 명성입니다. .. 삶의 지혜 2016.06.03
나는 네가 지나쳐 온 저 사람들 가운데 있다 나는 네가 지나쳐 온 저 사람들 가운데 있다 신에 대한 사랑으로 가득 채워진 경건하고 헌신적인 어떤 부인이 있었습니다. 그녀는 하루도 거르지 않고 매일 아침이면 교회에 나갔습니다. 그녀를 보고 어린 아이들은 크게 소리쳐 부르고 거지들은 구걸하며 졸졸 따라 다녔지만 하느님 생.. 삶의 묵상 2016.06.02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雖臥馬糞 此生可願)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雖臥馬糞 此生可願)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雖臥馬糞 此生可願)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중국 사람들이 좋아하는 속담이라고 합니다. 아무리 고생스럽고 천하게 살더라도 죽는 것보다는 사는 것이 낫다는 뜻입니다. 아무리 고생스럽고 천하게 살더라도.. 삶의 지혜 2016.06.01
마음을 만인의 아래에 두는 것이 어찌 해롭겠습니까 마음을 만인의 아래에 두는 것이 어찌 해롭겠습니까 사람은 착하면 착할수록 더욱더 겸손하고 몸가짐을 낮게 합니다. 우물은 깊을수록 물이 더욱 달고, 벌집은 낮은 곳에 있을수록 꿀이 더욱 많고, 과일은 익으면 가지가 반드시 늘어지고, 곡식은 여물면 이삭이 반드시 고개를 숙입니다. .. 삶의 묵상 2016.05.31
남들에게 보이기 위해서 착한 일을 한다면 차라리 하지 않는 것이 낫습니다 남들에게 보이기 위해서 착한 일을 한다면 차라리 하지 않는 것이 낫습니다 중세 말기와 근세 초기를 대표하는 사상가이자 추기경인 쿠사누스의 니콜라우스(Nicolaus 1401-1464)가 살던 마을에 매우 가난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에게는 세 딸이 있었는데 아직 맏딸도 시집을 보내지 못하였습.. 삶의 묵상 2016.05.30
밝은 지혜만이 난관을 돌파할 수 있습니다 밝은 지혜만이 난관을 돌파할 수 있습니다 고려 17대왕 인종(仁宗 1109-1146)의 왕비는 당대의 세도가 이자겸(李資謙 ? - 1126)의 딸이었습니다. 그런데 바로 그 이자겸(李資謙)이 어린 인종을 죽이려고 딸에게 독이 든 음식을 상에 차려 가져가게 하였습니다. 왕비는 아버지의 말을 들으면 남.. 삶의 지혜 2016.05.29
정치는 국민을 잘 살도록 하는데 있을 터인데 하필이면 이익만 따지십니까? 정치는 국민을 잘 살도록 하는데 있을 터인데 하필이면 이익만 따지십니까? 맹자(孟子)가 양혜왕(梁惠王)을 찾아가 만났더니 왕이 물었습니다. "노인께서 천리를 멀다 여기지 않고 찾아와 주셨으니 내 나라를 이롭게 할 일이 있겠습니까?" 그러자 맹자(孟子)가 대답했습니다. "왕께서 하필.. 삶의 지혜 2016.05.27
선을 악으로 갚는 사람에게 결코 행복한 종말을 약속하지 않았습니다 선을 악으로 갚는 사람에게 결코 행복한 종말을 약속하지 않았습니다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사람과의 관계를 맺으며 살아갑니다. 그러나 살아가면서 경멸해야 할 것 중 하나가 배은망덕(背恩忘德)입니다. 은혜를 잊고 배신을 한다는말로 은혜를 원수로 갚는 것을 이르는 말.. 삶의 묵상 2016.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