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고집전 옹고집전(擁固執傳) 옹고집전은 이조 영,정조 시대에 판소리 계열의 각본으로 제작된 것을 소설화한 듯한 풍자소설로 풍자와 해학으로 엮은 권선징악을 주제로 내세운 작자와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로서 판소리는 전승되지 않는다 옹진골 옹당촌에 옹고집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 심술이 사납고 .. 역사 산책 2008.10.14
오유란전 오유란전(烏有蘭傳) 오유란전은 작자와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로 조선 영·정조에 쓰여진 한문 풍자 소설이다. 풍자보다는 해학이 강조되어 명랑 소설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서울에 사는 이생은 김생과는 죽마고우였다. 김생이 먼저 과거에 급제하여 평양감사가 되자 이생을 청하여 후원 별당에 거.. 역사 산책 2008.10.13
장화홍련전 장화홍련전(薔花紅蓮傳) 작자와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로서 효종 때 전동흘이 평안도 철산부사로 가서 배좌수의 딸 장화와 홍련이 계모의 흉계로 원통하게 죽은 사건을 처리한 실화를 후세 사람이 전기체 구성으로 소설화한 이조 후기의 계모형 가정소설이다. 세종 대왕 때 평안도 철산 지방에 배좌수.. 역사 산책 2008.10.09
배비장전 배비장전(裵裨將傳) 작자와 연대 미상의 이조시대의 고전소설로 우리나라 해학, 풍자 소설 가운데 대표적인 풍자 소설 이다. 배선달은 김경이 제주목사가 되어 부임하자 비장이 되어 따라간다. 어떤 여자와도 가까이 하지 않기로 아내와 굳게 약속한 배비장은 목사 일행이 매일 주지와 주색에 빠져 있.. 역사 산책 2008.10.07
심청전 심청전(沈淸傳) 작자와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판소리 열두 마당 가운데 하나인 심청가가 소설로 정착된 판소리계 소설이다. 이조 시대의 도덕 소설로 춘향전과 함께 우리 민족 속에 살아있는 가장 대표적인 효녀 소설이기도 하다. 효녀 심청이 눈먼 아버지 심봉사의 눈을 뜨게 하려고 공양미 삼백석.. 역사 산책 2008.10.06
임진록 임진록(任辰錄) 임진왜란을 소재로 한 작자와 연대 미상의 역사소설이자 고전소설이다. 선조 대왕의 꿈을 최일경이 해몽한 결과 왜군이 쳐들어 온다는 것이었다. 임진년에 왜군이 우리나라를 침공하게 되자 이순신이 국난을 예측하고 거북선을 만들어 수군을 지휘하여 싸우다 장렬한 전사를 하였다. .. 역사 산책 2008.10.01
이춘풍전 이춘풍전(李春風傳) 조선시대 말엽에 쓰여진 작가와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로 풍자소설이다. 조선을 배경으로 평범한 서민 주인공을 통하여 일상적인 삶의 모습을 묘사한 평민문학으로 숙종 때 서울 사는 이춘풍은 별감을 하였다고 양반 자랑을 하면서 방탕한 생활을 하다가 가산을 탕진하고 빚을 지.. 역사 산책 2008.09.29
계축일기 계축일기(癸丑日記) 인목대비를 가까이 모시고 있던 어느 궁녀가 서술한 수기로 보이나 조선시대의 궁중소설이다. 한중록, 인현왕후전과 함께 3대 궁중소설의 하나로 서궁록이라고도 한다. 궁중문학으로 소설문학의 발달에 기여했으며 궁중비사를 그려 일반 백성과 후세의 사람들에게까지 그 내막을.. 역사 산책 2008.09.26
박씨전 박씨전(朴氏傳) 이조 숙종 때의 작품으로 작자와 연대는 미상이며 박씨부인전이라고도 하며 필사본인 명월부인전은 박씨전의 다른 이름이다. 역사적 사실에 실화적 요소가 가미되어 씌어진 작품으로 역사소설, 군담소설이지만 여걸소설이라 하기도 한다 병조판서 이시백의 부인 박씨가 슬기와 도술.. 역사 산책 2008.09.25
박문수전 박문수전(朴文秀傳) 조선 후기의 문신이면서 암행어사로 유명하였던 박문수에 관한 설화이다. 실제의 인물이었던 암행어사 박문수의 행장을 소설화한 것으로 박문수 자신의 전기와도 같다. 박문수전은 작자와 연대를 알 수 없으며 조선 영,정조 시대로 추측하고 있는 고전소설이다. 박문수는 경종 3.. 역사 산책 2008.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