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충도 18

우리 미술관 옛그림 - 겸재(謙齋) 정선(鄭敾)의 서과투서도(西瓜偸鼠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서과투서도(西瓜偸鼠圖)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의 서과투서도(西瓜偸鼠圖)입니다. 말 그대로 '수박을 훔치는 쥐'라는 그림입니다. 겸재(謙齋) 정선(鄭敾)의 그림은 소소한 정취보다는 장엄한 기세가 압도적인데 이 그림은 은근한 ..

역사 산책 2018.05.29

우리 미술관 옛그림 - 화재(和齋) 변상벽(卞相璧)의 모계령자도(母鷄領子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화재(和齋) 변상벽(卞相璧 1730-1775) 모계령자도(母鷄領子圖) 조선 영조 시대를 대표하는 초상화가 화재(和齋) 변상벽(卞相璧 1730-1775) 모계령자도(母鷄領子圖) 즉 <어미닭과 병아리>라는 그림입니다. 변상벽(卞相璧)은 초상화를 잘 그려 국수(國手)로 불리워졌습니..

역사 산책 2018.04.25

우리 미술관 옛그림 -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의 서설홍청(鼠齧紅菁)

우리 미술관 옛그림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 1707-1769) 서설홍청(鼠齧紅菁)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 1707-1769)의 서설홍청(鼠齧紅菁)입니다.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은 노론과 소론의 권력투쟁 과정에서 집안이 풍비박산이 났습니다. 심사정(沈師正)은 역적 가문의 자손으로 태어난 온..

역사 산책 2018.04.10

우리 미술관 옛그림 - 화재(和齋) 변상벽(卞相壁)의 국청추묘(菊庭秋貓)

우리 미술관 옛그림 화재(和齋) 변상벽(卞相壁 1730-1775) 국청추묘(菊庭秋貓) 화재(和齋) 변상벽(卞相壁 1730-1775)의 국청추묘(菊庭秋貓)입니다. 말 그대로 '국화 핀 뜰 안의 가을 고양이'라는 그림입니다. 화재(和齋) 변상벽(卞相壁)은 도화서 출신의 화가로 조선 영조 시대를 대표하는 초상화..

역사 산책 2018.03.26

우리 미술관 옛그림 - 호생관(毫生館) 최북(崔北)의 서설홍청(鼠齧紅菁)

우리 미술관 옛그림 호생관(毫生館) 최북(崔北 1712-1760) 서설홍청(鼠齧紅菁) 호생관(毫生館) 최북(崔北 1712-1760)은 남이 흉내내지 못할 기인이었다고 합니다. 최북(崔北)은 별호로 칠칠(七七)이 있습니다. 자신의 이름인 북(北)을 반으로 쪼개서 지었다는 설과 최북(崔北)이 죽었을 때의 나이..

역사 산책 2018.03.05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수월헌(水月軒) 임희지(林熙之)의 노모도(老貌圖)

우리 미술관 옛그림 수월헌(水月軒) 임희지(林熙之 1765-1820 이후?) 노모도(老貌圖) 조선 후기 화가 수월헌(水月軒) 임희지(林熙之)는 통 큰 행보에 걸맞게 남이 헐뜯는 말에는 개의치 않았습니다. 임희지(林熙之)는 손바닥 크기의 마당에다 연못을 팠습니다. 물이 나오지 않자 그는 쌀뜨물..

역사 산책 2018.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