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자기의 분수를 알고 그것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행복은 자기의 분수를 알고 그것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들에서 사는 야생 나귀가 어느 날 따스한 양지 쪽에서 맛있는 음식을 먹고 있는 나귀 곁으로 와 부러운 얼굴로 말했습니다. "너는 참 행복하구나. 쫓기는 일도 없이 맛있는 음식을 유유히 먹을 수 있으니." 그런데 얼마 후 그 나귀가 .. 삶의 묵상 2019.02.01
인재를 잘 고르다는 고사성어 백락상마(伯樂相馬) 인재를 잘 고르다는 고사성어 백락상마(伯樂相馬) 춘추 시대 상마가(相馬家) 손양(孫陽)은 명마(名馬)를 가려내는 안목이 가히 신(神)의 경지에 도달하여 사람들은 그를 존중하여 백락(伯樂)이라고 불렀다. 백락(伯樂)은 형편 없어 보이던 말이 천리마임을 알아 보았다. 하루는 초(楚)나라 .. 고사 성어 2018.09.01
악하거나 신의없는 사람은 교화가 안 된다는 고사성어 낭자야심(狼子野心) 악하거나 신의없는 사람은 교화가 안 된다는 고사성어 낭자야심(狼子野心) 춘추 시대 초(楚)나라의 투자문(鬪子文)은 약오(若敖)씨의 후예다. 전설에 따르면 그는 태어난 직후 들에 버려졌는데 호랑이가 물어와서 길렀다고 한다. 나중에 그를 발견한 사람이 이 아이에게는 복이 있다며 데.. 고사 성어 2018.02.06
교만한 자는 모든 생각 모든 일마다 스스로 가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교만한 자는 모든 생각 모든 일마다 스스로 가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서양의 어느 나라에 매우 교만한 임금이 있었습니다. 그는 천주경(天主經)를 외우는 이가 "하느님께서는 지위가 높다고 여기는 사람은 높은 자리에서 물리치시고 겸손한 사람은 올려 주신다."(집회 10,14)고 하는 말을 .. 삶의 지혜 2017.11.01
한 번 한 약속은 끝까지 지킨다는 고사성어 계포일락(季布一諾) 한 번 한 약속은 끝까지 지킨다는 고사성어 계포일락(季布一諾) 초(楚)나라 사람 계포(季布)는 의협심이 강하고 장중한 사람으로 어떤 일이든지 좋다하고 한 번 약속하면 그것을 반드시 지키는 사람이었다. 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이 천하를 걸고 싸울 때의 일이다. 계포(季布)가 초(楚)나.. 고사 성어 2017.04.19
세 조목의 법만 규정한다는 고사성어 법삼장이(法三章耳) 세 조목의 법만 규정한다는 고사성어 법삼장이(法三章耳) 중국 한(漢)나라 원년 진(秦)나라 군사를 격파한 유방(劉邦 BC247-BC195)이 패상에 이르자 진(秦)나라 임금은 황제의 옥쇄와 부절이 든 상자를 바치고 항복했다. 이때 여러 장수들이 진왕을 죽여 버리자고 했으나 유방은 항복한 임금.. 고사 성어 2017.04.07
근본을 잊지 않는 마음을 일컫는 고사성어 수구초심(首丘初心) 근본을 잊지 않는 마음을 일컫는 고사성어 수구초심(首丘初心) 은(銀)나라 말기 강태공의 이름은 여상(呂尙)이다. 그는 위수 강가에 사냥 나왔던 서쪽 지역 제후였던 후에 문왕으로 추존된 창(昌)을 만나 함께 은(銀)나라 주왕을 몰아내고 창(昌)의 아들(武王)을 도와 주(周)나라를 세웠다. .. 고사 성어 2016.12.07
우리 서로 손을 잡고 함께 가자는 고사성어 휴수동행(携手同行) 우리 서로 손을 잡고 함께 가자는 고사성어 휴수동행(携手同行) 시경(詩經) 북풍(北風) 이라는 詩에 北風其涼 雨雪其雱(북풍기량 우설기방) 惠而好我 攜手同行(혜이호아 휴수동행)이라는 문장들이 나오는데 의미를 해석하면 북풍이 저토록 차갑게 불어대는 허허한 벌판에 비.. 고사 성어 2016.07.04
배우지 않으면 재주 없이 하늘에 오르려는 것과 같습니다 배우지 않으면 재주 없이 하늘에 오르려는 것과 같습니다 배우지 않으면 깨달을 수가 없습니다. 배운다는 것은 가르침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내가 모르고 있던 사물에 대해서 남이 하는 것을 그대로 본받을 수도 있고, 남이 하는 것을 내 마음에 새겨 내 나름대로 깨달을 수도 있습니다. .. 삶의 지혜 2016.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