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맑으면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진다는 고사성어 심청사달(心淸事達) 마음이 맑으면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진다는 고사성어 심청사달(心淸事達) 사람의 행동은 마음에 근거해서 나온다.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篇)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子曰(자왈) 視其所以(시기소이) 觀其所由(관기소유) 察其所安(찰기소안) 人焉瘦哉(인언수재) 人焉瘦哉(인언수재) 공.. 고사 성어 2018.12.18
마음을 어떻게 먹느냐에 따라 지옥과 극락이 구분됩니다 마음을 어떻게 먹느냐에 따라 지옥과 극락이 구분됩니다 상대에게 무언가를 해주었더니 그가 기뻐했다면 그것만으로 기분이 맑아지고 자기 자신이 자랑스러워질 것입니다. 상대방에게 도움이 되었다라는 사실 자체에서 기쁨을 느낀 적이 있습니까? 그 정도의 정신적 수준에 도달해야만.. 삶의 묵상 2018.08.18
나라를 어지럽히는 신하와 어버이를 해치는 자식이라는 고사성어 난신적자(亂臣賊子) 나라를 어지럽히는 신하와 어버이를 해치는 자식이라는 고사성어 난신적자(亂臣賊子) 맹자(孟子 BC372경~BC289경)에게 공도자(公都子)라는 제자가 있었다. 어느 날 공도자(公都子)가 맹자(孟子)에게 물었다. “사람들이 선생님을 가리켜 논쟁을 좋아한다고 하는데, 그 까닭을 알고 싶습니다... 고사 성어 2018.01.17
남을 헐뜯으면 자신의 마음을 더럽히는 것입니다 남을 헐뜯으면 자신의 마음을 더럽히는 것입니다 남을 헐뜯는 이는 독사보다도 해롭다고 하였습니다. 독사는 한 번 물면 한 사람을 해칠 뿐이지만 남을 헐뜯는 이는 한 마디의 말로 세 사람을 해치기 때문입니다. 곧 자신이 그 하나이고, 듣는 이가 하나이며, 헐뜯음을 받는 이가 하나입.. 삶의 묵상 2017.12.27
세계의 모든 일은 나와 상관없는 것이 없다는 고사성어 노영읍위(魯嬰泣衛) 세계의 모든 일은 나와 상관없는 것이 없다는 고사성어 노영읍위(魯嬰泣衛) 춘추시대 노나라의 변방에 문지기의 딸인 영(嬰)이라는 소녀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영(嬰)이 친구들과 함께 베를 짜다 말고 갑자기 울음을 터뜨렸다. 느닷없는 울음에 친구들이 까닭을 묻자, 영(é.. 고사 성어 2017.12.04
대인관계를 잘못하면 친구들도 적이 될 수 있다는 고사성어 주중적국(舟中敵國) 대인관계를 잘못하면 친구들도 적이 될 수 있다는 고사성어 주중적국(舟中敵國) 위(魏)나라 무후(武侯)는 독선적이고 교만한 인물이었다. 무후(武侯)는 군주의 자리에 오르고 나서 얼마되지 않아 오기(吳起)가 있는 서하성으로 순행(巡行)을 한다. 무후(武侯)가 서하 호수에 유람선을 띄워.. 고사 성어 2017.10.30
군주를 위태롭게 하는 징후라는 고사성어 위군지징(危君之徵) 군주를 위태롭게 하는 징후라는 고사성어 위군지징(危君之徵) 헌공(獻公)이 여희(驪姬)를 총애하고 해제를 편애하면서 태자를 죽음으로 내몰고 여러 공자를 도망가게 하는 동안, 동쪽 제(齊)나라에서는 환공(桓公)이 관중(管仲)을 기용하여 부국강병을 이루고 패자(覇者)로 우뚝 섰다. 헌.. 고사 성어 2017.09.04
자신의 처지를 미루어 다른 사람의 형편을 헤아린다는 고사성어 추기급인(推己及人) 자신의 처지를 미루어 다른 사람의 형편을 헤아린다는 고사성어 추기급인(推己及人) 중국 춘추시대 때의 이야기이다. 어느 날 제(齊)나라에 사흘 밤낮을 쉬지 않고 큰 눈이 내렸다. 제(齊)나라의 왕 경공(景公)은 따뜻한 방 안에서 여우털로 만든 옷을 입고 설경(雪景)의 아름다움에 빠져 .. 고사 성어 2017.05.01
요원의 불길이란 말을 쓸 때 고사성어 요원여화(燎原如火) 요원의 불길이란 말을 쓸 때 고사성어 요원여화(燎原如火) 상(商)나라는 은(殷)나라라고도 부른다. 19대 왕인 반경(盤庚)이 즉위할 때 수도가 경(耿)이라 곳이었는데 경(耿)땅은 비교적 편리한 곳으로 백성들도 만족하고 살았지만 홍수가 나 도읍을 옮길 필요가 있었다. 하지만 천도가 쉬운.. 고사 성어 2017.01.05
신의 직업은 용서하는 것입니다 신의 직업은 용서하는 것입니다 가톨릭에는 사제에게 죄를 고백하고 용서의 징표로 그에게서 사면을 받는 예식이 있습니다. 그것을 고해성사라 하는데 이 행위를 죄사함의 어떤 보증표 정도로 생각하고 하느님의 자비 보다도 그것에 더 의존하는 잘못을 저지르고 있는 경우가 매우 흔한.. 삶의 묵상 2016.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