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정에 빠진 사람에게 돌을 떨어뜨린다는 고사성어 낙정하석(落穽下石)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인 한유(韓愈)가 친구 유종원(柳宗元)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묘지명(墓誌銘)이다. 한유(韓愈)는 유종원(柳宗元)이 소인배들의 모함으로 기개를 펼치지 못하고 저승으로 먼저 간 것을 애도하는 마음에서 이 글을 지었다.
『아! 선비는 자신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비로소 그 지조(志操)를 알게 된다. 지금 어떤 사람들은 컴컴한 골목에 살면서 서로 사랑하고 술과 음식을 나누어 먹고 놀면서 즐겁게 웃으며, 자기의 심장이라도
꺼내 줄 것처럼 친구라고 칭하고, 하늘과 땅을 가리키며 죽음과 삶을 함께할 거라고 아주 간절하게 말한다. 그러나 머리털만큼이나 작은 이익이라도 있는 문제가 발생하면 서로 눈을 부릅뜨고 사람을 구분할 줄도 모른다. 함정에 빠진 당신에게 손을 내밀어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돌을 들어 던지는 사람이 많다.
落陷穽 不一引手救 反-之 又下石焉者 皆是也(낙함정 불일인수구 반제지 우하석언자 개시야)
이처럼 개화되지 않아 금수와 같은 사람들은 어째서 직접 가서 일을 하지 않으면서 자기들의 행동이 옳다고 생각하는가?』
유종원(柳宗元)은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어린 시절부터 총명하고 문장을 잘 쓰기로 명성이 자자했으며, 조정에 나아가 감찰어사(監察御史)로 있었다. 그는 순종(順宗)이 즉위한 뒤 왕숙문(王叔文) 등이 주도하는 정치개혁에 가담하였다가 혁신 정치가 실패하여 유주자사(柳州刺史)로 좌천되어 귀양살이를 하다가 47세에 세상을 떠났다.
유종원(柳宗元)은 한유(韓愈)와 함께 고문부흥(古文復興)을 영도한 인물로서 도를 밝힌다는 명도(明道)를 문학관(文學觀)의 강령으로 삼았다. 그의 정치 활동에 있어서도 도(道)’에 부합하는 행동을 하려고 노력했다.
한유(韓愈)가 친구 유종원(柳宗元)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묘지명(墓誌銘)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낙정하석(落穽下石)이다.
낙정하석(落穽下石)이란 우물 아래에 돌을 떨어뜨린다는 뜻으로 함정에 빠진 사람에게 돌을 떨어뜨린다는 말이다. 다른 사람이 재앙을 당하면 도와주기는커녕 오히려 더 큰 재앙이 닥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만일 우물에 빠진 사람에게 튼튼한 밧줄을 내려 주기는커녕 오히려 돌을 던진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우물에 빠진 사람은 생사(生死)의 기로(岐路)에 서 있는 절박한 처지에 놓여 있어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일 것입니다. 그렇지만 돌을 던진다면 죽음으로 떨어지고 말 것입니다. 우리는 친구나 주위 사람들이 평온하고 안락한 생활을 할 때는 물론이고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되었을 때 더욱 구렁 속으로 밀어 넣는 행동을 결코 해서는 안 되며 그 동안 쌓아 온 신뢰 속에서
온정의 손길을 뻗쳐야 합니다.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쓸데없는 짓을 덧붙여 하다가 도리어 실패함을 이르는 고사성어 화사첨족(畵蛇添足) (0) | 2015.07.15 |
---|---|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무능한 대신을 비꼬는 고사성어 반식재상(伴食宰相) (0) | 2015.07.13 |
날이 개면 논밭을 갈고 비가 오면 글을 읽는다는 고사성어 청경우독(淸耕雨讀) (0) | 2015.07.10 |
거문고를 울려 적을 쫓아냈다는 고사성어 탄금주적(彈琴走賊) (0) | 2015.07.08 |
의견이 달라서 서로 화합할 수 없는 경우를 비유하는 고사성어 수화불상용(水火不相容) (0) | 2015.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