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의견이 달라서 서로 화합할 수 없는 경우를 비유하는 고사성어 수화불상용(水火不相容)

박남량 narciso 2015. 7. 7. 12:54


의견이 달라서 서로 화합할 수 없는 경우를 비유하는 고사성어 수화불상용(水火不相容)



중국 삼국시대 촉한(蜀漢)의 명장 위연은 성격이 오만하고 국내에서 그를 당해낼 자가 없어서 누구든 두렵게 여겼으며  모두가 그를 피하였다. 오직 장사(長史)인 양의(楊儀)만은 위연을 아랑곳하지 않아서 항상 그와 맞섰다.

延以爲至忿, 有如水火  위연은 양의의 태도에 대하여 매우 화를 냈는데 두 사람은 마치 물과 불의 관계와 같았다.

후한(後漢) 말기에 왕부(王符)가 쓴 잠부론(潛夫論)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邪之與正, 猶水與火, 不同源, 不得幷盛
사악함과 올바름의 차이는 마치 물과 불의 관계와 같아서 근원이 같아질 수 없고 나란히 성(盛)할 수 없는 것이다.』


삼국지(三國志) 촉지 위연전(蜀志 魏延傳)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수화불상용(水火不相容)이다.

수화불상용(水火不相容)이란 물과 불처럼 서로 용납하지 못하는 사이라는 뜻으로 사람들 사이의 관계가 화목하지 못하고 의견이 달라서 서로 화합할 수 없는 경우를 비유하는 말이다. 동의어로 수화불용(水火不容), 유여수화(有如水火), 빙탄불상용(氷炭不相容)이 있다.

빙탄불상용(氷炭不相容)의 유래는 이렇다. 한나라 무제  때의 동방삭은 재치와 해학이 뛰어났다. 황제에게 직언을 서슴치 않았으며 교활하고 아첨하는 무리들과는 타협하지도 않았다. 그는 초나라의 우국시인 굴원을 추모해 칠간이라는 7수의 시를 지었다. 그는 자비(自悲)라는 시에서 『氷炭不相容  얼음과 숯은 서로 함께 할 수 없으니 내 본디 목숨이 길지 못함을 알겠구나』라고 노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