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산책

정월대보름 풍속과 음식

박남량 narciso 2008. 2. 11. 10:02

 



정월대보름 풍속과 음식


 

               정월의 절일로는 설과 대보름이 있다.
               태고에는 대보름을 설처럼 여기기도 하였다.
               대보름의 풍속은 농경을 기본으로
               개인의 복과 집단의 이익을 기원하는
               다양한 의식과 놀이를 행하였다
               대보름에는 온 집안에 등불을 켜 놓고
               밤을 세운다는 풍속의기록도 있다.

               중국에서는 상원이라고 하여
                8 대 축일의 하나로 여겼다.
               일본에서도 대보름을 소정월(小 正月)이라 하여
               신년의 기점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달맞이행사와 아울러 풍속 및 음식의
               내용과 의미를 되새겨 본다.

 

달맞이

 

            달이 가장 먼저 뜨는 곳에 가서 달맞이를 한다.
               달빛이 붉으면 가물고
               달빛이 희면 장마가 있을 징조라고 하며
               북쪽으로 치우치면 들과 산에
               남쪽으로 치우치면 바닷가에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또한 달의 사방이 두꺼우면 풍년이 들 징조이고
               달의 사방이 얇으면 흉년이 든다고 생각했다.

 

쥐불놀이

 

            대보름날 밤에는 논과 밭둑에
              불을 놓는 세시풍속이 있었다.
              이 풍속은 잡초를 태워서 쥐를 없애고
              해충의 알을 죽여서 풍작을 기원하며
              봄에 새싹이 날 때 거름이 되도록 하는 놀이이다.

 

달집 태우기

 

              짚이나 솔가지 등을 모아서
              언덕이나 들판 또는 산 위에 쌓아 놓고
              보름달이 떠오르기를 기다려 불을 지르는데
              이때 한 가지 소원을 빌면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특히 맨 먼저 달집에 불을 지르면
              총각들은 장가를 가고 득남한다고 한다.
              또한 달집 불에 콩을 볶아 먹으면
              한 해 동안 이를 앓지 않으며
              달집의 불이 활활 잘 타고 연기가 많이 날수록
              마을이 태평하고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지신밟기

 

              정초부터 대보름 무렵에
              마을의 풍물패가 여러 집을 돌아다니며
              흥겹게 놀면서 집주인과 가족의 건강과 번영을
              축원하는 놀이로서
              지역에 따라서는 귀신이 나오지 못하도록 밟는다는
              뜻으로 매귀라고 하며 마당밟기라고도 한다.

 

놋다리 밟기

 

              경북 안동, 의성에서 행해지는 놀이이다.
              정월 대보름 밤에 부녀자들이 하는 놀이로
              단장한 여자들이 공주를 뽑아
              자신들의 허리를 굽혀 그 위로 걸어가게 하는
              놀이로서 기와밟기라고도 한다.

 

연 태우기

 

              대보름날 아이들이 연에다
              액 또는 송액영복이나 신액소멸 등을 써서
              연날리기를 하다 해질 무렵에 연줄을 끊어
              하늘로 날려 보냄으로써 액막이를 한다.

 

볏가리대 세우기

 

              정월 대보름 전날
              짚을 묶어서 깃대 모양으로 만들고
              그 안에 벼, 기장, 피, 조의 이삭을 넣어 싸고
              목화 도장대 끝에 매달아 이를 집 곁에 세워 놓고
              보름날 새벽 일찍 아이들로 하여금 주위를 돌면서
              해가 뜰 때까지 풍년을 기원하는 노래를
              부르게 하는 풍속이다.

 

복토 훔치기

 

              부잣집의 흙을 몰래 훔쳐서
              자기 집의 부뚜막에 발라 복을 기원하는 풍속이다.

 

용알뜨기

 

              대보름날 새벽에
              제일 먼저 우물물을 길어와
              풍년과 운수대통을 기원하는 풍속이다.

 

다리밟기

 

              정월 대보름 밤에 다리를 밟으면
              한 해 동안 다리 병이 없고
              열 두 다리를 밟아 지나가면
              열 두 달의 액을 면한다고 믿었다.

 

백가반

 

              정월 대보름날 어린아이나 병이 들어 마른사람이
              여러 집을 돌아다니며 밥을 빌어다가 먹는 풍습이다.
              이는 귀하게 자라는 아이를 천하게 길러야
              건강하게 크며 앓고 난 사람도 빨리 회복되고
              건강해 진다는 바람에서 나온 것이라고 한다.

 

개보름 쇠기

 

              정월대보름날 개를 굶기는 풍속이다.
              이 날 개에게 먹이를 주면
              한 해 동안 내내 파리가 많이 꾀고
              개가 쇠약해 진다는 속설이 있어 생긴 풍속으로
              하루 종일 먹이를 주지 않는 것이 아니라
              오후에는 먹이를 준다.

 

안택

 

              단골무당을 청해서
              집안의 신과 여러 잡신들을 불러 먹임으로써
              가정의 행복과 평안을 기원하는 굿을 하는 풍속이다.

 

사발 점치기

 

              정월 대보름날 밤
              사발에 재를 담고 그 위에 여러 곡식의 씨앗을 담아
              지붕 위에 올려 놓고 이튿날 아침
              씨앗들이 낮아져 있으면 풍년이 되고
              날아가거나 떨어져 있으면 흉년이 든다고 믿었다.

 

나무 그림자 점치기

 

              한 자 길이의 나무를 마당 가운데 세워놓고
              자정 무렵 그 나무에 비치는 그림자의 길이에 따라서
              한 해를 점쳐보는 풍속이다.

 

  더위 팔기

 

              정월 대보름날 아침
              해가 뜨기 전에 일어나 동네사람을 만나는 대로
              상대방의 이름을 불러 대답하면
              내 더위 사가라 하고 말하면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하여 이 날은 다른 사람이
              자기 이름을 불러도 대답하지 않고
              도리어 내 더위 사가라 하고 선수를 친다.
              더위 팔기에 또다른 풍습은
              대나무쪽에 가족 이름을 적어 동전을 종이에  싸서
              길바닥에 버리면 누구든지 먼저 줍는 사람이
              더위를 먹는다고 전해지고 있다.

 

오곡밥과 아홉 가지 나물

 

              정월 대보름날에는
              찹쌀, 조, 콩, 팥, 수수를 섞어서 지은
              오곡밥을 먹는다.
              아홉 가지 나물에 아홉 번 밥을 먹고

              나무 아홉 짐을 해야 하며
              세 집 이상의 성이 다른 이웃집의 밥을 먹어야만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한다.
              아홉 가지 나물은
              콩나물, 도라지나물, 고사리나물, 시래기나물, 취나물,
              무나물, 고구마순나물, 호박고지나물, 가지고지나물

 

복쌈

 

              취나물을 볶고 김을 구워
              김으로 취나물과 오곡밥을 싸서 먹는다.
              쌈을 먹음으로써 복을 쌈싸듯이 모을 수 있다는
              풍습에서 나왔다고 한다.

 

귀밝이 술

 

              명이주, 이명주, 치롱주, 총이주라고도 한다.
              보름날 아침에
              데우지 않은 술 한 잔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한 해 동안 즐거운 소식을 듣는다고 하여
              남녀노소가 모두 마셨으며
              아침에 웃어른이 한 잔씩 따라주며 마시게 한다.

 

부 럼

 

              부럼은 부스럼에서 온 말로
              잣, 호두, 밤, 은행, 땅콩 등
              견과류를 깨무는 것을 부럼이라고 한다.
              대보름날 아침에 일찍 일어나
              껍질 째 깨물면서
              한 해 동안 부스럼, 종기가 나지 않도록 해 주십시오.
              하면서 축원을 했다고 한다.
              깨물 때 딱하는 소리에 잡귀가 물러간다고 하여
              단 번에 깨무는 것이 좋다고 한다.

              정월 대보름 휘영청 밝은 달님으로부터
              복을 받기를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