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산책

화랑과 향가 모죽지랑가

박남량 narciso 2008. 1. 17. 11:11



화랑과 향가 모죽지랑가


 

                모죽지랑가라는 향가는 삼국을 통일한 뒤
                화랑도가 세력을 잃어가는 과정을
                암시적으로 드러낸 노래이다.
                이 향가에는
                삼국통일의 위업을 완수하는 데 공헌하여
                존경과 찬사를 받았던 노화랑의
                퇴락한 모습을 슬퍼하고
                그를 향한 득오의 심경이 드러나 있다.
                죽지랑을 사모하는 간절한 마음은
                의리에 충실하고 의리를 목숨보다
                더 소중하게 여겼던 화랑의 정신을 보여주고 있다.

                모죽지랑가는 득오가 죽지랑이란
                화랑을 사모한 노래이다.
                죽지랑에 대한 사모의 정이 나타나고 있다.
                죽지랑은 이름난 화랑이며 장군으로
                진덕왕 때 김유신과 함께 국사를 논의하던
                술종공의 아들이며 진골 출신이다.
                삼국 통일에 큰 공을 세우고
                벼슬이 이찬에까지 올라 높이 숭앙된 인물이다.

                작자인 득오는 원래 죽지랑의 낭도였다가
                익선에게 매여 고난을 겪던 중
                죽지랑이 이끌고 온 무리들에 의해
                구해졌다는 이야기가 이 노래의 배경에 있다.

                신라 제 32대 효소왕 때
                화랑 죽지랑의 무리 가운데
                득오라고 하는 화랑이 있었다.
                화랑도의 명부에 이름을 올려 놓고
                매일 출근하더니 보이지 않았다.
                죽지랑이 그의 어머니를 불러
                아들이 어디에 갔느냐고 물어 보았다.
                그의 어머니는 부대장 모량부의 익선이
                아들을 부산성의 창고지기로 임명하여
                급히 가느라고 랑께 알리지 못하였다하니
                죽지랑은 이 말을 듣고 득오를 찾아가서
                가지고 간 떡과 술을 득오에게 먹인 다음  
                위로하고 익선의 밭으로 찾아가
                익선에게 득오의 휴가를 청하였으나
                익선은 이를 거부하고 허락하지 않았다.

                그 때 마침 간진이라는 사람이
                추화군 지금의 밀양 능절의
                벼 30석을 거두어 성 안으로 싣고 가다가
                죽지랑이 선비를 존대하는 것을 아름답게 여기고
                익선의 변통성이 없는 것을 천하게 생각하여
                가지고 가던 벼 30석을 익선에게 주면서
                득오를 보내도록 청하였으나 허락하지 않았다.
                그래서 또 말안장을 더 주었더니 허락하였다.
                결국 죽지랑은 부산성 창고지기에서 고생하는
                득오를구하게 된 것이다.
                신라에서 화랑을 관장하는 화주가
                이 이야기를 듣고 익선을 잡아다가
                버릇을 고치려고 하였는데 도망쳐
                그의 아들을 대신 잡아가서는
                몹시 추운 날인데 못에서
                목욕을 하게 하여 얼어 죽게 하였다.
                대왕이 이 말을 듣고 모량리 사람은
                모두 벼슬에서 몰아내게 하였고
                승복을 입지 못하게 하였다.


모죽지랑가


              
  去隱春皆理米
             
거은춘계리미
             毛冬居叱哭屋尸以憂音
             
모동거질곡옥시이우음
             阿冬音乃叱好支賜烏隱
             
아동음내질호지사오은
             貌史年數就音墮支行齊
             
모사년수취음타지행제
             目煙廻於尸七史伊衣
             
목연회어시칠사이의
             逢烏支惡知作乎下是
            
 봉오지악지작호하시
             郞也慕理尸心未 行乎尸道尸
             
낭야모리시심미행호시도시
             蓬次叱巷中宿尸夜音有叱下是
             
봉차질항중숙시야음유질하시

 

                 현대어로 풀이하면
                 지나간 봄 돌아오지 못하니
                 살아 계시지 못하여 울어 말라 버릴 이 시름
                 눈두덩 불두덩 좋으신
                 모습이 해가 갈수록 헐어 가도다.
                 눈의 돌음 없이 저를
                 만나보기 어찌 이루리
                 랑 그리는 마음의 모습이 가는 길
                 다복 굴헝에 잘 밤 있으리.(김완진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