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재주 있는 사람이 때를 만나지 못하고 아까운 재주를 썩히며 고생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 백락연후유천리마(伯樂然後有千里馬)

박남량 narciso 2013. 5. 8. 10:27

 


재주 있는 사람이 때를 만나지 못하고 아까운 재주를 썩히며 고생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 백락연후유천리마(伯樂然後有千里馬)




춘추시대 진목공 때 손양(孫陽)이란 사람이 말을 잘 알아보았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은 그를 백락(伯樂)이라 불렀다.

언젠가 손양(孫陽)이 천리마가 다른 말과 함께 소금 수레를 끌고 고갯길을 오르는 것을 마주치게 되었다. 말은 고갯길로 접어들자 발길을 멈추고 멍에를 맨 체 땅에 무릎을 꿇었다. 그러고는 손양(孫陽)을 쳐다보고는 소리쳐 울었다.

손양(孫陽)은 수레에서 내려내려 '너에게 소금 수레를 끌리다니!" 하며 말의 목을 잡고 함께 울었다. 말은 고개를 숙여 한숨을 짓고 다시 고개를 들어 울었다. 그 우렁차고 슬픈 목소리는 하늘에까지 울렸다.

백락과 천리마의 이야기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백락연후유천리마(伯樂然後有千里馬)이다.

백락연후유천리마(伯樂然後有千里馬)는 하루에 천리를 달릴 수 있는 말도 이를 알아 주는 사람이 없으면 짐수레를 끌며 늙고 만다는 뜻이다. 아무리 재주가 뛰어난 사람도 이를 알아주는 사람이 없으면 출세를 못하고 마는 것을 말한다. 염거지감(鹽車之憾) 즉 소금 수레의 원한이라고 하여 재주 있는 사람이 때를 만나지 못하고 아까운 재주를 썩히며 고생하는 것에 비유되기도 하는 고사성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