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미술관 옛그림
화재(和齋) 변상벽(卞相壁 1730-1775) 국청추묘(菊庭秋貓)
화재(和齋) 변상벽(卞相壁 1730-1775)의 국청추묘(菊庭秋貓)입니다. 말 그대로 '국화 핀 뜰 안의 가을 고양이'라는 그림입니다. 화재(和齋) 변상벽(卞相壁)은 도화서 출신의 화가로 조선 영조 시대를 대표하는 초상화가입니다. 1763년과 1773년 두 차례에 걸쳐 영조어진(英祖御眞) 제작에 참여했습니다. 변상벽(卞相壁)은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진 동물에 대한 깊은 애정과 면밀한 관찰을 바탕으로 한 세밀하고도 빈틈이 없는 묘사를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그림은 국화가 소담하게 피어난 가을 뜨락을 배경으로 웅크리고 앉아있는 얼룩고양이를 그렸습니다. 그림 속 고양이는 세 가지 색깔을 가졌습니다. 삼색고양이는 암컷입니다. 얼룩고양이는 정면을 응시하고 있습니다. 가을 햇볕을 즐기다 인기척에 놀라 잔뜩 경계하는 모습처럼 보이기도 하고 먹잇감을 노려보며 긴장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상황설정이나 형세도 빼어나지만 한 가닥 수염과 터럭 한 올의 묘사까지도 조금도 소홀함이 없으며, 고양이의 눈동자의 미묘한 색조와 귓속 실핏줄, 심지어 가슴 부분의 촘촘하고 부드러운 털과 등 주변의 성근 듯 오롯한 털의 질감까지 정교하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그림의 백미는 상징성이나 의미보다는 놀라울만큼 사실적인 묘사입니다. 그리고 고양이는 예로부터 노인을 상징하고 국화는 은일(隱逸)을 대표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이 그림은 은일(隱逸)과 장수(長壽)의 복(福)을 두루 누리기를 바라는 의미가 담겨진 그림입니다.
연뢰(淵雷) 정극순(政克淳 1700-1753)의 시문집(詩文集)인 연뢰유고(淵雷遺稿)와 화가 변상벽(卞相壁)의 그림을 보고 쓴 기문인 변씨화기(卞氏畵記)에 담긴 문장입니다.
"재주란 넓으면서도 조잡한 것보다는 차라리 한 가지에 정밀해 이름을 이루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오. 나 또한 산수화를 그리는 것을 배웠지만 지금의 화가를 압도해 위로 올라설 수 없다는 것을 알았기에 사물을 골라서 연습했습니다. 저 고양이는 가족인지라 매일 사람과 친근하지요. 굶주리거나 배부르고 기뻐하거나 성내고 혹은 움직이거나 가만히 있거나 하는 모습을 쉽게 관찰해 익숙하게 됩니다. 고양이의 생리가 내 마음에 있고 모습이 내 눈에 있게 되면 그다음에는 고양이의 형태가 내 손에 닿아 나옵니다. 인간 세상에 있는 고양이도 수천 마리이겠지만 내 마음과 손에 있는 놈 또한 헤아릴 수 없답니다. 이것이 내가 일세에 독보적인 존재가 된 까닭입니다."
고양이를 잘 그린 변상벽(卞相壁)의 인기와 손 재주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상벽(卞相壁)은 매우 겸손합니다. 산수화로 이름을 낼 수 없으니 자신이 좋아하는 고양이를 그렸다고 밝혔습니다. 호방하면서도 오만한 화가의 자만심 대신 성실하고 겸손한 화가의 평정심을 택한 화인(畵人)이 아닐까요.
'역사 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미술관 옛그림 - 탄은(灘隱) 이정(李霆)의 풍죽도(風竹圖) (0) | 2018.04.05 |
---|---|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초원(蕉園) 이수민(李壽民)의 수하독서도(樹下讀書圖) (0) | 2018.03.30 |
우리 미술관 옛그림 -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의 승하좌수도해도(乘蝦座睡渡海圖) (0) | 2018.03.21 |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수월헌(水月軒) 임희지(林熙之)의 난죽석도(蘭竹石圖) (0) | 2018.03.16 |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증번상촌장묵란도(贈樊上村庄墨蘭圖) (0) | 2018.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