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산책

우리 미술관 옛그림 - 익지(益之) 이명욱(李明郁)의 어초문답도(漁樵問答圖)

박남량 narciso 2018. 7. 6. 12:33


우리 미술관 옛그림

익지(益之) 이명욱(李明郁 ?-?) 어초문답도(漁樵問答圖)


조선 중기의 화가 익지(益之) 이명욱(李明郁 ?-?)이 그린 어초문답도(漁樵問答圖)는 나무꾼과 어부의 대화 장면을 그린 고사인물화입니다. 익지(益之) 이명욱(李明郁)의 작품은 어초문답도(漁樵問答圖)가 유일합니다. 열성어제(列聖御製)에 의하면 숙종(肅宗 1661-1720)은 이명욱(李明郁)을 매우 아껴 이명욱(李明郁)과 속허주필의(續虛舟筆意)라는 낙관(落款)을 하사했으며 그 후 속악치생필의(續樂癡生筆意)라는 낙관도 내려주려 했으나 그가 세상을 등지는 바람에 이루지 못했다고 합니다.

어초문답도(漁樵問答圖)는 무성한 갈대숲 사잇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간과 자연과의 친화관계를 상징하고 있는 두 사람의 만남과 문답의 모습을 그린 그림입니다. 어부와 나무꾼이 묻고 대답하는 그림인 어초문답도(漁樵問答圖)는 오른쪽 인물이 고기를 낚는 어부로 한 손에 물고기를 다른 한 손에는 낚싯대를 들고 있습니다. 그리고 왼쪽 인물은 나무꾼 초부로 허리춤에 도끼를 차고 있는 모습입니다. 허리춤에 손도끼를 찬 나무꾼의 끈이 묶인 장대와 한손에 잡은 고기를 들고 오른쪽 어깨에 낚싯대를 걸친 두 사람은 오늘의 사람과 오늘의 삶에도 옮아올 여력이 있어 보입니다.


강가에서 나무꾼은 세상을 보며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들에 대한 의문을 던지고 어부는 나무꾼의 의문에 답을 하는 것을 통해 우주와 세계의 질서, 세상의 이치에 대해서 논하는 장면입니다. 이들은 단순한 어부와 초부가 아니라 숨은 현자(賢者)인 것입니다. 소강절(邵康節 1011~1077)의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에 어부와 초부가 세상의 이치에 대한 철학적 대화를 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漁者垂釣于伊水之上。樵者過之,弛擔息肩,
坐于磐石之上,而問於漁者
乃析薪烹魚而食之飫,而論《易》
漁者與樵者遊于伊水之上。漁者歎曰
漁者謂樵者曰 “子知觀天地萬物之道乎?”
樵者曰 “未也。願聞其方。” 漁者曰 “夫所以謂之觀物者.

어부가 물위에서 낚싯대를 드리우고 나무꾼이 그 옆을 지나가다 짊어진 짐을 벗어놓고
너럭바위 위에 앉아 쉬면서 어부에게 묻는다.
땔감을 쪼개어 물고기를 구워먹으면서 역(易)에 대해서 의논하였다.
어부와 초부는 같이 이수(伊水)가에서 노닐었는데 어부가 탄식하여 말했다.
어부가 초부에게 말하기를
"너는 천지만물을 보는 도(道)를 아느냐."
초부가 말하기를
"아직 모른다."하고 그 방도를 듣기 원하자 어부가 말하기를 "무릇 소위 말하는 관물이라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