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법률

업무방해죄 와 공무집행방해죄

박남량 narciso 2009. 11. 23. 15:19

업무방해죄와 공무집행방해죄

- 대법원 2009.11.19, 2009도4166판결 -

- 형법 제314조 제1항 -

형법상 업무방해죄는
허위의 사실을 유포하거나 기타 위계 또는 위력으로써
사람의 업무를 방해하거나

- 제314조 제2항 -

컴퓨터 등 정보처리장치 또는 전자기록 등 특수매체기록을 손괴하거나
정보처리장치에 허위의 정보 또는 부정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정보처리에 장애를 발생하게 하여
사람의 업무를 방해한 때에 성립하는 범죄이다.

업무방해죄의 보호법익은
업무를 통한 사람의 사회적, 경제적 활동을 보호하려는 데 있으므로,
그 보호대상이 되는 ‘업무’라 함은
직업 또는 계속적으로 종사하는 사무나 사업을 말하고,
여기서 ‘사무’ 또는 ‘사업’은 단순히 경제적 활동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널리 사람이 그 사회생활상의 지위에서 계속적으로 행하는
일체의 사회적 활동을 의미한다고 보아야 한다.

- 형법 제136조 제1항 -
- 형법 제137조 -

그런데 형법은 업무방해죄와는 별도로 공무방해에 관한 죄의 하나로서
폭행, 협박 또는 위계로써 공무원의 직무집행을 방해하는 행위를
공무집행방해죄로 규정하고 있다.
공무집행방해죄에서의 ‘직무의 집행’이란
널리 공무원이 직무상 취급할 수 있는 사무를 행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죄의 보호법익이 공무원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행하여지는
국가 또는 공공기관의 기능을 보호하고자 하는 데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공무원의 직무집행이 적법한 경우에 한하여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하고,

- 대법원 2008. 11. 13. 선고 2007도9794판결 -

여기에서 적법한 공무집행이라고 함은
그 행위가 공무원의 추상적 권한에 속할 뿐 아니라
구체적 직무집행에 관한 법률상 요건과 방식을 갖춘 경우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라고 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업무방해죄와 공무집행방해죄는
그 보호법익과 보호대상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업무방해죄의 행위유형에 비하여
공무집행방해죄의 행위유형은 보다 제한되어 있다.
즉 공무집행방해죄는 폭행, 협박에 이른 경우를 구성요건으로 삼고 있을 뿐
이에 이르지 아니하는 위력 등에 의한 경우는
그 구성요건의 대상으로 삼고 있지 않다.

- 형법 제136조 제2항 -
또한 형법은 공무집행방해죄 외에도 직무강요죄
- 형법 제138조 -
법정 또는 국회회의장모욕죄
- 형법 제139조 -
인권옹호직무방해죄
- 형법 제140조 -
공무상 비밀표시무효죄
- 형법 제140조의 2 -
부동산 강제집행효용침해죄
- 형법 제141조 제1항 -
공용서류등 무효죄
- 형법 제141조 제2항 -
공용물파괴죄
- 형법 제142조 -
공무상 보관물무효죄
- 형법 제144조 -
특수공무방해죄(제144조)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유형의 공무방해행위를 처벌하는 규정을
개별적, 구체적으로 마련하여 두고 있으므로,
이러한 처벌조항 이외에 공무의 집행을 업무방해죄에 의하여
보호받도록 하여야 할 현실적 필요가 적다는 측면도 있다.

그러므로 형법이 업무방해죄와는
별도로 공무집행방해죄를 규정하고 있는 것은 사적업무와 공무를 구별하여
공무에 관해서는 공무원에 대한 폭행, 협박 또는 위계의 방법으로
그 집행을 방해하는 경우에 한하여 처벌하겠다는 취지라고 보아야 할 것이고,
따라서 공무원이 직무상 수행하는 공무를 방해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업무방해죄로 의율할 수는 없다고 해석함이 상당하다.
라고 하였습니다.

위 판시를 하면서
대법원 1996. 1. 26. 선고 95도1959 판결,
대법원 2003. 3. 14. 선고 2002도5883 판결 등에서
위력을 행사하여 공무원들의 정상적인 업무수행을 방해하거나
업무방해의 결과를 초래한 경우에는 업무방해죄가 성립한다고 판시한 의견은
이 판결로써 변경하기로 한다라고 하였습니다.




- 대법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