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아무 거리낌 없는 맑고 밝은 인품을 비유하는 고사성어 광풍제월(光風霽月)

박남량 narciso 2019. 4. 15. 17:13


아무 거리낌 없는 맑고 밝은 인품을 비유하는 고사성어 광풍제월(光風霽月)



유교(儒敎)는 북송(北宋) 유교 사상가인 주자(周子) 주돈이(周敦頤 1017-1073)가 나와서 태극도설 (太極圖說)통서(通書)를 저술했고, 그 뒤에 정호(程顥)와 정이(程滯) 형제가 사서(四書 = 大學 中庸 論語 孟子)를 정하여 성도(聖道)를 밝혔으며, 주자(朱子)가 이것을 집대성(集大成)하여 형이상학(形而上學)으로서의 경학(經學)을 수립하여 소위 송학(宋學)을 대성(大成)시켰다고 알려지고 있다.

주돈이(周敦頤 )는 옛사람의 풍도가 있으며, 정사를 베풂에는 도리를 다 밝힌 사람이라고 한다. 연꽃을 사랑한 까닭을 설명한 설류인 애련설(愛蓮說)의 한 구절에 "蓮花之君子者也(연화지군자자야)  연꽃은 군자의 풍도가 있다"라는 구절이 있다. 한편은 글 안에 도학(道學)의 향기도 풍기지만 그의 인격을 잘 나타내고 있다.

소식(蘇軾)과 함께 북송(北宋) 시대의 시()를 대표하는 황정견(黃庭堅 1045-1105)이 춘릉(春陵)의 주무숙(周茂淑)의 인물됨을 이야기할 때 "胸懷灑落如光風霽月(흉회쇄락여광풍제월)  가슴에 품은 뜻을 맑고 맑음이 마치 비갠 뒤 해가 뜨며 부는 청량한 바람과도 같고 비 개인 하늘의 상쾌한 달빛과도 같다."고 했다그를 光風霽月(광풍제월)과 같다고 평하고 있다.


중국 송()나라 명필인 황정견(黃庭堅)의 글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광풍제월(光風霽月)이다.

광풍제월(光風霽月)이란 비가 갠 뒤의 바람과 달이란 뜻으로 아무 거리낌 없는 맑고 밝은 인품을 비유하여 이르는말이다. 깨끗하게 가슴 속이 맑고 고결한 것 또는 그런 사람에 비유하여 사용되고 있다. 세상이 잘 다스려진 일을 뜻하는데 쓰이기도 한다. <꽃사진: 캄파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