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술은 기분이 좋은 정도에서 그친다는 고사성어 유주무량 불급란

박남량 narciso 2011. 2. 14. 11:05


술은 기분이 좋은 정도에서 그친다는
고사성어 유주무량 불급란(唯酒無量 不及亂)


               공자의 일상생활을 기록한 논어에서
               공자가 식생활면에서
               위생에 얼마나 철저하였는가를 알 수 있는데
               그 내용을 보면

               밥은 정(精)한 것을 싫어하지 않았고
               회(膾)는 가는 것을 싫어하지 않았다.
               밥이 쉬거나 맛이 변한 것과
               생선이 신선하지 않은 것과
               고기가 상한 것을 먹지 않았다.
               빛이 좋지 않아도 먹지 않고
               냄새가 좋지 않아도 먹지 않고
               제대로 삶아지지 않은 것도 먹지 않고
               철 아닌 것도 먹지 않았다.

               칼로 벤 것이 반듯하지 못한 것도 먹지 않고
               간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것도 먹지 않았다.
               고기가 많을 경우라도 
               밥 기운이 이기도록은 먹지 않고
               술은 일정한 양이 없이
               정신이 어지러워지지 않을 정도로 그쳤다.
               사온 술과 사 온 마른 고기를 먹지 않고
               생강 먹는 것을 쉬지 않았으며 많이 먹지 않았다.
               밥 먹을 때 일하지 않고
               누워 잘 때 말하지 않았다.

               논어의 향당편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유주무량 불급란(唯酒無量 不及亂)이다.

               유주무량 불급란(唯酒無量 不及亂)이란
               술은 일정한 분량을 정해두지 않고
               기분이 좋은 정도에서 그친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