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번 명령하고 다섯 번을 거듭 말한다는 고사성어 삼령오신(三令五申)
병법의 고전으로 유명한 책 '손자(孫子)'는 본고장인 중국에서는 물론이고 세계 각국에서 연구하고 있다. 손무(孫武)는 오(吳)나라 왕인 합려(閤閭)의 군사(軍師)가 되었는데 이때의 일화가 재미있다.
오(吳)나라 왕인 합려(閤閭)는 손무(孫武)를 군사(軍師)로 채용할 때의 일이다.
"손무(孫武) 선생, 그대의 책은 모두 읽었소. 과연 그렇구나 하는 생각은 들지만 막상 그대로 기병(起兵)할 수 있을지 의문이오. 여기서 시험삼아 기병(起兵)하는 병법을 보여주지 않겠소?"
"어렵잖은 일입니다. 그 대신 제 생각대로 해도 상관없습니까?"
"그리하오. 어떤 수단을 써도 좋소."
그래서 손무(孫武)는 궁녀 180명을 궁정 안마당에 나란히 세운 뒤 그들을 2대(隊)로 나누어 왕의 총희(寵姬) 두 여인을 각 대(隊)의 대장으로 각각 임명하고 미녀들을 둘러보고 말했다.
"너희들은 자기의 좌우의 손, 가슴, 등을 알고 있느냐?"
궁녀들은 당연한 일이라며 깔깔 웃었다.
"좋다. 그럼 내가 오른쪽이라고 구령하면 오른손, 왼쪽이라고 하면 왼손, 앞이라고 구령하면 가슴을 보라. 그리고 뒤라고 하면 뒤돌아 보라. 이것이 명령이다. 군의 명령이라는 것은 아무리 간단한 것이라도 위반하면 처벌받는다. 그 중에서 각 대(隊)의 대장은 남보다 갑절 책임이 무겁다."
손무(孫武)는 이 말을 끈덕질 정도로 몇 번이나 설명한 다음(三令五申), 북을 울리면서 '왼쪽!'하면서 구령을 내렸다. 그러자 대장을 비롯하여 미녀들은 웃음만 터뜨릴 뿐 아무도 왼손을 보이지 않았다. 계속해서 '오른쪽!'하고 구령을 내렸지만 궁녀들은 여전히 웃을 뿐 말을 듣지 않았다.
"그만큼 몇 번이나 설명했는데도 명령을 이해하지 못할 리는 없다. 그리고 병사가 지휘자의 말을 듣지 않는 것은 대장된 자의 책임이다."
손무(孫武)는 거친 목소리로 이렇게 말하고는 허리의 칼을 뽑아 서슴없이 두 여자 대장을 베어 버렸다. 이렇게 하고 다시 북을 쳐서 구령을 내렸더니 궁녀들은 왼쪽이라고 하면 왼손, 오른쪽이라고 하면 오른손, 무릎을 꿇어라고 하면 무릎을 꿇었고, 뛰라고 하면 뛰는 등 일사분란하게 움직였닫. 한 사람도 웃는 사람은 없었으며 기침소리조차 들리지 않았다.
손무(孫武)는 왕 앞으로 나아가 이렇게 말했다.
"이 여자들은 이미 훌륭한 군대입니다. 한 번 명령을 내려서 시험해 주십시오. 왕께서 생각하시는 대로 훌륭하게 움직일 것입니다."
오(吳)나라 왕인 합려(閤閭)는 무슨 짓을 해도 좋다고 말했으니 총애하는 두 궁녀가 희생되었는데도 화를 낼 수가 없었다. 몹시 불쾌한 듯 상을 잔뜩 찌푸린 얼굴의 합려(閤閭)는 손무(孫武)의 벼슬 자리를 거절할 수도 없었다. 이렇게 해서 손무(孫武)는 오(吳)나라 왕인 합려(閤閭)의 군사(軍師)가 되었다.
사기(史記)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삼령오신(三令五申)이다.
삼령오신(三令五申)이란 세 번 명령하고 다섯 번을 거듭 말하다는 뜻으로 같은 것을 몇 번이고 되풀이 해서 명령하고 계고한다는 말이다. 완벽을 기하기 위해 몇 번이고 고치거나 바꾼다는 의미이기도 하다.<꽃사진 공작단풍>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타구니 아래로 기어간 치욕이라는 고사성어 과하지욕(跨下之辱) (0) | 2016.05.05 |
---|---|
앞뒤를 생각하지 않고 무턱대고 나아간다는 고사성어 저돌맹진(猪突猛進) (0) | 2016.05.04 |
죽은 사람이 남의 시체를 빌어 부활하다는 고사성어 차시환혼(借屍還魂) (0) | 2016.04.29 |
내게 아첨하는 자는 나의 도적이다라는 고사성어 첨유아자오적야(諂諛我者吾賊也) (0) | 2016.04.27 |
신세를 진 관리라는 뜻의 고사성어 문생고리(門生故吏) (0) | 2016.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