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사람은 죽을 때가 되면 착한 말을 한다는 고사성어 인지장사 기언야선(人之將死 其言也善)

박남량 narciso 2013. 9. 9. 12:28


사람은 죽을 때가 되면 착한 말을 한다는 고사성어 인지장사 기언야선(人之將死  其言也善)




증자(曾子)가 오랜 병으로 누워 있을 때 노(魯)나라 세도대신인 맹경자(孟敬子)가 문병을 왔을 때 증자(曾子)가 맹경자(孟敬子)에게 한 말이다.

鳥之將死  其鳴也哀
人之將死  其言也善


새가 장차 죽으려면 그 울음 소리가 슬프고 사람이 장차 죽으려면 그 말이 착한 법이다.

이어서 군자가 귀중하게 여겨야 할 세 가지 도(道)를 들어 말한 다음 그 밖의 사무적인 일은 각각 맡은 사람이 있으므로 그런 것에 너무 관심을 갖지 말고 웃사람으로서의 체통을 지키라고 권한다. 맹경자(孟敬子)의 결점을 하나하나 들어 유언에 가까운 충고를 한 것이다.

증자(曾子)가 한 이 말은 죽을 임시해서 하는 내 말이니 착한 말로 알고 깊이 명심해서 실천하라고 한 것이다.

평소에 악한 사람도 죽을 임시에서는 착한 마음으로 돌아와 착한 말을 하게 되는 것이 보통이다. 내가 잘못했구나 또는 미안하다 아니면 좀 잘 살 걸 등등 뉘우치는 것이 보통인 것이다. 자기가 죽는다는 것을 의식하지 않고도 어떤 영감이 떠오르게 되는 것이다.  

평소에 하지 않던 착한 말을 하는 것을 보고 그 사람 쉬 죽을 모양이야 하고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말이 흔히 적중되기도 한다.

증자(曾子)의 이 말을 두고 주자(朱子)는 이렇게 풀이하였다.

鳥畏死  故鳴哀  人窮反本  故言善
此曾子之兼辭  欲敬子  知其所言之善  而識之也


새는 죽기를 두려워하기 때문에 우는 것이 슬프고 사람은 마치면 근본에 돌아가기 때문에 착한 것을 말한다. 이것은 증자(曾子)의 겸손한 말이니 맹경자(孟敬子)에게 그 말한 바가 착한 것임을 알게 하여 기억하도록 함이다.

논어(論語)의 태백편(泰伯編)에 있는 증자(曾子)의 말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인지장사 기언야선(人之將死  其言也善)이다.

인지장사 기언야선(人之將死  其言也善)이란  사람은 죽을 때가 되면 착한 말을 한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