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잘 하는 사람이 반드시 마음의 수양이 되어 있는 사람은 아니다라는 고사성어 유언자 불필유덕(有言者 不必有德)
有德者 必有言 有言者 不必有德
仁者 必有勇 勇者 不必有仁
덕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말이 있지만 말이 있는 사람이 반드시 덕이 있는 것은 아니다.
어진 사람은 반드시 용기가 있지만 용기 있는 사람이 반드시 어진 것은 아니다.
이 말은 논어 헌문편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다. 이 말을 다시 쉬운 말로 풀이하면 이런 내용이 된다.
수양과 학식을 가진 사람은 자연 말 속에 수양과 학식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그러나 속에 수양과 학식이 없이 입에 발린 소리로 그런 흉내를 낼 수는 있다. 그러므로 그 사람의 말만 듣고 그 인격은 알 수 없는 일이다. 진리를 깨달은 어진 사람은 죽음도 아끼지 않는 용기를 동시에 갖게 된다. 그러나 용기가 있는 사람이라고 해서 그가 반드시 어진 사람은 아니다. 어질다는 말은 용기가 있다는 것을 동시에 뜻하지만 용기가 곧 어질다는 뜻이 될 수는 없다.
말하기 위한 말, 용기를 위한 용기는 참다운 말과 참다운 용기가 될 수 없다는 뜻이다.
논어 헌문편에 나오는 공자의 말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유언자 불필유덕(有言者 不必有德)이다.
유언자 불필유덕(有言者 不必有德)이 뜻하는 것은 말을 잘 하는 사람이 반드시 그만한 마음의 수양이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이다.
좋은 말은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좋은 말을 한다고 해서 덕을 갖추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좋은 말을 하기보다는 덕을 갖추라는 것이 먼저라는 말입니다. 공자는 말은 못하여 더듬듯 하는 것이 어진 마음에 가깝다고 하였습니다. 용기를 내세우기보다는 어진 마음을 갖추는 것이 먼저라는 말입니다.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먼 것은 화급할 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고사성어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0) | 2013.09.16 |
---|---|
사람은 죽을 때가 되면 착한 말을 한다는 고사성어 인지장사 기언야선(人之將死 其言也善) (0) | 2013.09.09 |
구하면 얻게 되고 버려 두면 잃게 된다는 고사성어 구즉득지 사즉실지(求則得之 舍則失之) (0) | 2013.07.22 |
강 남쪽에 심은 귤을 강 북쪽에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고사성어 강남종귤강북위지(江南種橘江北爲枳) (0) | 2013.07.19 |
글씨 잘 쓰는 사람은 붓의 좋고 나쁨을 가리지 않는다는 고사성어 능서불택필(能書不擇筆) (0) | 2013.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