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도 교육을 통해 선도해야만 역량을 발휘할수 있다는 고사성어 간장막야(干將莫耶)
오(吳)나라 왕 합려(闔閭)가 대장장이 간장(干將)에게 명검을 두 자루
만들어서 바치라고 명령했다.
간장(干將)이 칼을 만들기 위해 청동을 녹이려고 아무리 애를 써도
청동은 삼년이 지나도 녹지 않아 칼을 만들 수가 없었다.
명검(名劍)을 빨리 보고 싶어하는 왕의 독촉이 있었지만 청동을 녹일 수가 없어 고민을 하고 있는데 아내인 막야(莫耶)가 꿈에서 그 방법을 알아냈다.
막야(莫耶)가 남편 간장(干將)의 머리카락과 손톱을 용광로에 넣은 뒤
삼백 명의 소녀가 풀무로 바람을 넣으니까 그제야 청동이 녹았다.
드디어 간장(干將)이 명검 두 자루를 만들어 양(陽)의 기운이 있는 검(劍)을 간장(干將),
음(陰)의 기운이 있는 검(劍)을 막야(莫耶)라는 이름을 칼에 새겨 넣었다.
간장막야(干將莫耶)는 어느 칼보다 단단하고 예리하여 명검(名劍)의 대명사가 되었다.
순자(荀子)는 천하의 명검들을 열거했다.
제환공의 총(蔥), 주문왕의 녹(錄), 초장왕의 홀(忽),
오왕(吳王) 합려(閤閭)의 간장(干將)과 막야(莫耶), 그리고 거궐(巨闕)과 벽려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그는 “아무리 명검이라 해도 숫돌에 갈지 않으면 무딘 칼일뿐,
아무것도 베지 못한다.”고 말했다.
순자(荀子)의 성악편(性惡篇)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간장막야(干將莫耶)이다.
간장막야(干將莫耶)란 중국 춘추시대 간장(干將)이 만든 두 자루의 명검이란 뜻으로, 사람도 교육을 통해 선도해야만 역량을 발휘할수 있다는 말이다. 명검(名劍)도 사람의 손길이 가야 비로소 빛나듯이 사람의 성품도 원래는 악(惡)하므로 노력을 기울여야 선(善)하게 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고기가 물을 얻은 것과 같다는 고사성어 여어득수(如魚得水) (0) | 2018.01.02 |
---|---|
처음 시작한것을 끝까지 잘 마무리한다는 고사성어 유종지미(有終之美) (0) | 2017.12.29 |
지혜가 그 사람의 화와 복을 좌우한다는 고사성어 이해위린(利害爲隣) (0) | 2017.12.18 |
실패하고 고향에 돌아갈 면목이 없다는 고사성어 무면도강(無面渡江) (0) | 2017.12.13 |
풀이나 나무까지 모두 적군으로 보인다는 고사성어 초목개병(草木皆兵) (0) | 2017.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