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산책

몽고군에 대한 저항과 삼별초

박남량 narciso 2007. 6. 21. 11:26



몽고군에 대한 저항과 삼별초


            세계 정복을 꿈꾸는 징기스칸의 몽고군은
            여러 차례 고려에 사신을 보내
            이런저런 것을 요구하며 고려를 넘보고 있었다.
            
            몽고 사신 저고여가 공물을 받아 가던 도중
            압록강 근처에서 여진족의 도둑떼를 만나      
            죽임을 당하자 그것이 고려인의 짓이라며
            고려를 침공해 왔다. 고려조정에서는 
            예물을 바치며 그들을 구슬려 돌려 보냈다.    
            그리고 그 다음해 몽고의 2 차 침공소문이 나자
            고려조정은 강화도로 임시 서울을 옮겼다.
            
            강화도로 임시 서울을 옮긴 그해 몽고군이     
            다시 침공하여 강화도까지는 들어오지 못했지만
            개경이 함락되고 나라가 쑥밭이 되었다.
            고려는 다섯 번의 몽고군 침입을 받아        
            고려의 많은 백성이 포로로 잡혀갔다.   
    
            이런 나라의 어려움 속에서
            최씨 집안의 머슴이었던 김준이란 자가
            밤을 지키는 선발 군대라는 뜻의
            야별초라는 군대의 대장이었는데
            몇몇 동지와 힘을 합쳐          
            4 대째 60 년 동안 내려오던 최씨 집안의
            독재 정치를 무너지게 하였다.

            야별초는 수가 많아지면서 그 부대를          
            우별초와 좌별초로 나누어 부르게 되었다.
            그즈음 몽고에 포로로 잡혀갔다가 도망해 온
            자들이 신의군이라는 부대를 만들었다.

            신의군은 몽고군에 대한 적개심이 대단하였으며
            단결력도 놀라와 스스로 만든 군대였다.
            우별초와 좌별초로 구분되는 야별초에         
            신의군을 더해 삼별초가 된 것이다.           
            고려의 임시 서울 강화도를 지키는 군사가     
            바로 삼별초였다.

            그즈음 고려 조정에서는 몽고의 압력에 의해   
            또 백성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몽고와 화해하기로 하였다.                   
            그러자면 강화도를 버리고 나와 본디 서울인  
            개경으로 돌아가야만 했다.  
                
            몽고와 용맹스럽게 싸우던 삼별초의 군대들은  
            그렇게 하는 것이 굴욕적인 항복이라면서     
            끝까지 싸울 것을 주장하였다.                
            임금이 아무리 달래도 군사들이 말을 듣지 않자
            왕은 개경으로 돌아갈 것을 선언하면서        
            삼별초를 강제로 해산시키도록
            김지서 장군에게 명하였다.

            이에 흥분한 삼별초의 지도자 배중손은       
            김통정, 노영희와 손을 잡고 반란을 일으켰다.
            배중손은 왕족 온을 온을 왕으로 올려 앉히고
            스스로 관리들을 임명하였지만
            섬주민들이 잘 따르지 않고 관리들 중에서도
            섬을 탈출하는 자가 많자 군사들과 함께      
            진도로 가 그곳에 터를 잡았다.              

            그들은 그곳에 용장성을 쌓는 한편            
            거제, 제주, 만해, 창선 등 전라도와 경상도
            일부의 섬을 점령하여 해상 왕국을 이루었다.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 106번지 용장산성은
            삼별초군이 몽고족에 항거한 격전지다.             
            고려시대 때의 유물이다.

            고려 조정에서는 김방경 장군과 몽고군을 보내
            삼별초를 토벌하고자 하였다.
            삼별초는 고려와 몽고군에 밀려 진도를 버리고
            제주도로 옮겨 갔다.

            배중손이 전투 도중 전사하자 삼별초의 사기는
            떨어졌으며 도망자가 많아 그 세력은 눈에 띄게
            꺾였으나 삼별초의 몽고군에 대한 저항은
            계속되었지만 1273 년 결국 전멸하게 되었다.
            살아 남은 삼별초는 한라산 깊숙이 들어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삼별초는 비록 그 뜻을 이루지 못하였으나  
            나라를 지키려는 호국 정신과 우리 민족의   
            자주 정신을 잘 보여 주었다.
            제주의
항파두성(缸坡頭城)은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고성리 일대에 있는
            고려후기 삼별초(三別秒)의 항몽유적지이다
 

 

 

 

'역사 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규보 와 회문시  (0) 2007.11.20
눈물 흘리는 영의정 오리 이원익  (0) 2007.07.02
대각국사 의천 과 엽전 그리고 천태종  (0) 2007.06.11
숙종임금 과 갈처사  (0) 2007.05.10
벽란도 와 코리아  (0) 2007.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