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산책

이규보 와 회문시

박남량 narciso 2007. 11. 20. 13:22



이규보와 회문시



                 고려시대 문신으로 문장가인 이규보는
                 호는 백운거사, 백운산인으로
                 말년에 시, 거문고, 술을 좋아하여
                 삼혹호선생이라고도 불리었다.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급제하였으나
                 곧 관직에 나가지 못하여 빈궁한 생활을 하면서
                 왕정에서의 부패와 무능
                 관리들의 방탕함과 백성들의 피폐함 등에 자극받아
                 동명왕편, 개원천보영사시를 지었다.
                 집현전대학사, 문하시랑평장사에 이르렀다.
                 경전, 사기, 선교, 잡설 등 여러 학문을 섭렵하였고
                 개성이 강한 시의 경지를 개척하였으며
                 말년에는 불교에 귀의하였다.

                 고려왕조의 대표적 시인의 한 사람인
                 이규보가 지은 회문시란
                 첫 글자부터 순서대로 읽어도
                 이를 순독이라고 하는데 뜻이 통하고
                 제일 끝 글자부터 거꾸로 읽기 시작하여
                 첫 자까지 읽어도 이를 역독이라고 하는데
                 뜻이 통하는 시를 말한다.
                 뜻만 통하는 것이 아니라 운자도 맞아야 한다.
                 일종의 배체시이자 유희시이다.
                 회문시는 시인들이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표현기법을 추구하고자 창조된 쟝르이다.


美 人 怨 (미인원)


                 
腸斷啼鶯春  꾀꼬리 우는 봄날 애간장 타는데
                 
落花紅簇地  꽃은 떨어져 온 땅을 붉게 덮었구나
                
 香衾曉枕孤  이불 속 새벽잠은 외롭기만 하여
                
 玉瞼雙流淚  고운 뺨엔 두 줄기 눈물 흐르누나
                 
郞信薄如雲  님의 약속 믿음 없기 뜬구름 같고
                 
妾情撓似水  이내 마음 일렁이는 강물 같누나
                
 長日度與誰  긴긴 밤을 그 누구와 함께 지내며
                
 皺却愁眉翠  수심에 찡그린 눈썹을 펼 수 있을까


美 人 怨 (미인원) (回文詩)


                 
翠眉愁却皺  푸른 눈썹은 수심 겨워 찌푸려 있는데
                 
誰與度日長  뉘와 함께 긴긴 밤을 지내어 볼까
                 
水似撓情妾  강물은 내 마음인 양 출렁거리고
                 
雲如薄信郎  구름은 신의 없는 님의 마음 같아라
                 
淚流雙瞼玉  두 뺨에 옥 같은 눈물 흐르고
                 
孤枕曉衾香  외론 베개 새벽 이불만 향기롭구나
                 
地簇紅花落  땅 가득히 붉은 꽃이 떨어지고
                 
春鶯啼斷腸  봄 꾀꼬리 우는 소리에 애간장 타누나
                                                                             (逆 讀)

                 표의문자인 한자의 특성을
                 절묘하게 살려서 짓는 회문시는
                 한 수에 두 수의 뜻을
                 형상화할 수 있는 시이기도 하다.
                 회문시는 앞뒤로 운자의 제한을 받고
                 또한 순서대로 읽거나 거꾸로 읽을 때에도
                 뜻이 통하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짓기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문학적 재능이 있어야만 지을 수가 있다.

                 이규보가 살던 시대는 고려의 혼란기였다.
                 이규보는 문학에 있어 엄청난 족적을 남겼지만
                 삶은 그렇게 순탄하지 않았다.
                 그 삶의 고난이 글로써 승화된 것일까?


折花行 (꽃을 꺾으며)


               
  牡丹含露眞珠顆   美人折得窓前過
            
  모란함로진주과   미인절득창전과
              含笑問檀郞   花强妾貌强
              
함소문단랑   화강첩모강
              檀郞故相戱   强道花枝好
             
 단랑고상희   강도화지호
              美人妬花勝   踏破花枝道
              
미인투화승   답파화지도
              花若勝於妾   今宵花同宿
              
화약승어첩   금소화동숙

                 모란꽃 이슬 머금어 진주알 같아
                 미인이 꺾어서 창 앞을 지나가다
                 웃음을 머금고 신랑에게 묻기를
                 꽃이 더 예쁜가요 제가 더 예쁜가요하니
                 신랑은 일부러 놀리면서
                 꽃이 더 좋다고 억지로 말하니
                 미인은 꽃이 더 낫다는 말 질투하여
                 꽃가지를 밟아 버리고 말하기를
                 꽃이 저보다 더 좋으면
                 오늘밤은 꽃하고 같이 주무시지요라 하였다.


老憶舊友(늙어서 기억되는 친구)


                 
雪髥孤(人垂)暗思量   未識故人誰得在
              
설염고(인수)암사량   미식고인수득재
              少年忌老憚相親   獨坐無言思舊輩
              
소년기노탄상친   독좌무언사구배
              還有後生僧見汝   少年到此方始悔
              
환유후생승견여   소년도차방시회

                 눈 수염 외로운 늙은 이 조용한 생각
                 알 수 없구나 친구가 누가 남아 있을가.
                 어린 시절 늙은 이 꺼려 서로 친하기 싫어하더니
                 홀로 앉아 말없이 옛 동료 생각한다.
                 오히려 후배들이 너 보기를 미워할 것이니
                 소년이 이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후회하네.


炤井戱作(우물에 비친 내 모습)


                 
不對靑銅久   吾顔莫記誰 
              
부대청동구   오안막기수  
              偶來方炤井   似昔稍相知
              
우래방소정   사석소상지

                 오래토록 거울을 안 보았더니
                 내 얼굴도 이젠 알 수가 없네.
                 우연히 우물에 비친 모습을 보니
                 전에 어디선가 본 듯한 녀석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