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탐욕으로 물든 사람은 즐거움을 얻을 수가 없습니다
신라 문무왕 때 광덕(廣德)과 엄장(嚴莊)이라는 두 스님이 있었습니다. 이들은 먼저 극락에 들어가는 사람이 서로에게 알리자고 약속했습니다. 광덕(廣德)은 분황사 서쪽 마을에서 처와 함께 살면서 신을 삼아 파는 것을 업으로 하였습니다.
한편 엄장(嚴莊)은 남악에 암자를 짓고 살면서 숲의 나무를 베고 밭 갈기에 힘썼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석양 무렵에, 엄장(嚴莊)의 집에 창 밖에서 광덕(廣德)의 목소리가 들려왔습니다.
"나는 이미 서쪽으로 가니, 그대는 잘 있다가 나를 따라오게."
엄장(嚴莊)이 급히 문을 열고 나가 보니 구름 밖에서 하늘의 음악소리가 울리고 광명이 땅에까지 뻗쳐 있었습니다. 이튿날 엄장(嚴莊)은 광덕(廣德)이 살던 곳을 찾아가 보았습니다. 과연 그는 죽어 있었습니다. 엄장(嚴莊)은 광덕(廣德)의 부인과 함께 유해를 거두어 장사를 지내고 나서 그 부인에게 말하였습니다.
"夫子逝矣(부자서의) 偕處何如(해처하여) 이제 남편이 죽었으니 나와 함께 사는 것이 어떻겠소?"
광덕(廣德)의 부인이 좋다고 하므로 엄장(嚴莊)은 그 집에서 머무르게 되었습니다. 드디어 밤이 되어 잠자리에 들어 관계를 가지려 하니 부인이 부끄러워하며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스님이 서방 극락에 가려고 함은 나무에 올라 고기를 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엄장(嚴莊)이 놀라며 광덕(廣德)도 이미 그랬는데 난들 어찌 아니 된다고 하느냐고 말하였습니다. 그러자 부인이 대답하였습니다.
" 未嘗一夕同床而枕(미상이석동상이침) 남편은 십년 동안이나 저와 동거하였으나 하루 저녁도 잠자리를 같이하지 않았습니다. 밤마다 단정히 앉아 아미타불을 외우고 혹은 십육관(十六觀)을 지어 미혹을 깨고 진리를 달관하였으며 밝은 달이 창에 비치면 그 빛에 올라 가부좌로 앉아 참선하였습니다.
정성이 그와 같았으니 서방 극락으로 가지 않으려고 한들 어디로 가겠습니까? 천리를 가는 사람은 그 첫걸음으로써 알 수 있는 것인데, 지금 스님의 하는 일은 동으로 간다고는 할지언정 서쪽 극락으로 갈 수는 없는 것입니다."
부인의 말을 들은 엄장(嚴莊)은 부끄러워하며 자리에서 물러나 몸을 깨끗이 하고 한마음으로 도를 닦아 마침내 서방 극락으로 갔습니다.
고려 후기의 고승 일연(一然 1206-1289)이 편찬한 문화 역사서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실린 글입니다. 일연(一然)의 호는 무극(無極)이고 속명은 김견명(金見明)입니다. 삼국유사(三國遺事)는 5권으로 된 목판본으로 구성은 왕력(王歷), 기이(紀異), 흥법(興法), 탑상(塔象), 의해(義解), 신주(神呪), 감통(感通), 피은(避隱), 효선(孝善)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왕력(王歷)편에서는 삼국, 가락국, 후고구려, 후백제 등의 간략한 연표를 싣고 있으며, 기이(紀異)편에서는 고조선의 단군신화로부터 신라를 중심으로 삼국의 다양한 신화와 전설 등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탑상(塔象)편에서는 탑(塔)과 불상(佛象)에 얽힌 이야기를 싣고 있습니다. 의해(義解)편에서는 원광을 비롯한 고승들의 이야기를, 신주(神呪)편에서는 밀교적인 신이한 승려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꽃사진: 톱풀꽃>
'삶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의 행복과 성공도 결국에는 선택의 문제입니다 (0) | 2017.03.08 |
---|---|
시대가 변화되기를 기다리기 보다는 지금 있는 곳에서 바로 시작하세요 (0) | 2017.02.24 |
내면을 수양하듯이 외양을 가꾸는 일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됩니다 (0) | 2017.02.17 |
나눔이 이웃들의 마음에 기쁨과 평화 그리고 행복의 꽃씨가 되어 자라고 있습니까 (0) | 2017.02.15 |
빈녀음(貧女吟) (0) | 2017.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