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

남에 대한 가르침은 그렇다고 치고 자신의 아들을 어떻게 가르쳤을까

박남량 narciso 2018. 3. 28. 11:04


남에 대한 가르침은 그렇다고 치고 자신의 아들을 어떻게 가르쳤을까



정원(庭園)을 지나가며 시경(詩經)과 예기(禮記)를 가르치다. 이 말은 과정시례(過庭詩禮)란 말로 공자(孔子)가 아들 공리(孔鯉)에게 공부에 대해 묻는 것을 말합니다. 과정시례(過庭詩禮)에 대한 이야기가 논어(論語) 계씨편(季氏篇)에 실려 있습니다.

공자(孔子)가 노(魯)나라에 있을 때 공리(孔鯉)가 태어났습니다. 노(魯)나라 군주인 소공(昭公)이 선물로 잉어(鯉)를 하사해서 이름을 리(鯉)라고 지었다고 합니다. 백리(伯鯉)는 그의 자(字)입니다. 공자(孔子)가 자기 아들은 어떻게 가르쳤을까 하고 궁금해 하던 제자 진항(陳亢)이 어느 날 공자(孔子)의 아들 백어(伯鯉)에게 물었습니다.

陳亢問於伯鯉曰子亦有異聞乎 (진항문어백어왈자역유이문호)

진항(陳亢)이 백어(伯鯉)에게 물었다.
"당신은 선생님의 아들이시니 우리들과는 다른 가르침을 받으셨을 텐데 그것을 일러 주실 수 있겠습니까?"

백어(伯鯉)가 대답했습니다.

對曰未也 (대왈미야) 嘗獨立 (상독립) 鯉趨而過庭 (리추이과정) 曰學詩乎 (왈학시호)
對曰未也 (대왈미야) 不學詩 (불학시) 無以言 (무이언) 鯉退而學詩 (리퇴이학시)   

"아닙니다. 그런 일은 없습니다. 다만 이전에 아버님께서 혼자 계실 때, 제가 뜰 앞을 종종걸음으로 뜰 앞을 지나치려니까 아버님께서 문득 시경(詩經)을 읽었느냐고 물으셨습니다. 그래서 저는,
'아닙니다. 아직 읽지 못했습니다.'라고 대답했더니 하버님께서는 시경(詩經)을 읽지 않으면 인정과 도리에 통하지 않아 바르게 말을 할 수 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제서야 저는 돌아와 시경(詩經)을 공부하였습니다.

他日又獨立 (타일우독립) 鯉趨而過庭 (리추이과정) 曰學禮乎 (왈학예호)
對曰未也 (대왈미야) 不學禮 (불학예) 無以立 (무이립) 鯉退而學禮 (리퇴이학예) 聞斯二者 (문사이자)

그 뒤 또 어느 날은 역시 뜰 앞에 서 계시는 아버님 앞을 종종걸음으로 지나치는데 이번에는 '예기(禮記)을 배웠느냐'고 물으셨습니다. '아직 안 배웠습니다.'라고 대답했더니 '예기(禮記)를 배우지 않으면 자립할 수가 없다.'고 이르셨습니다. 그래서 저는 그제서야 예기(禮記)를 배웠습니다. 저는 그 두 마디를 아버님으로부터 들었을 뿐입니다."


교학상장(敎學相長)이란 말이 있습니다. 이는 가르치고 배우면서 서로 성장한다는 뜻입니다. 예기(禮記)의 학기편(學記篇)에 보면 스승과 제자는 한쪽은 가르치기만 하고 다른 한쪽은 배우기만 하는 상하관계가 아니라 스승은 학생에게 가르침으로써 성장하고  제자 역시 배움으로써 나아진다고 하였습니다.

이 이야기속에도 가르치려는 아버지와 애써 배우려는 아들의 정성이 돋보이고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신뢰가 눈에 띄게 드러납니다. 아버지와 아들 사이에 가르침과 배움이 군더더기 말이 없어도 실행되고 있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이는 스승과 제자 사이에 신뢰처럼 중요한 것이 없다는 것입니다.

성경에서의 가르침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제자는 스승보다 높지 않다. 그러나 누구든지 다 배우고 나면 스승처럼 될 것이다." (루카 6,40) 라고 가르치면서 "스승의 말씀을 쫓지 아니하고 그 가르침에 귀를 기울이지 않다가" (잠언 5,13) 신세를 망치고 울부짖는다고 하였습니다. <그림: 과정시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