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글씨 잘 쓰는 사람은 붓의 좋고 나쁨을 가리지 않는다는 고사성어 능서불택필(能書不擇筆)

박남량 narciso 2013. 7. 2. 10:14


글씨 잘 쓰는 사람은 붓의 좋고 나쁨을 가리지 않는다는 고사성어 능서불택필(能書不擇筆)




글씨를 아주 능한 사람이 붓을 가리지 않는다는 것이 곧 능서불택필(能書不擇筆)이다.

당나라 초기의 3대 명필인 구양순, 우세남, 저수량은 해서의 완성자로 그 글씨는 오늘날도 배우는 사람들에게 최고의 규범이 되고 있다. 세 사람은 다같이 찬하명필로 알려진 진나라 왕희지의 글씨를 배워 각자 독자의 길을 개척하였고 왕희지의 글씨를 지나칠 정도로 사랑한 당태종의 글씨를 가르치는 스승이 되었다.

세 사람 중 가장 나이 어린 저수량은 우세남의 후계자가 되었는데 그가 한번은 선배인 우세남에게 글씨에 대해 물은 일이 있다.

"제 글씨는 제가 배운 적이 있는 스님인 지영(智英) 선생과 비교하면 어느 정도입니까?"
"지영 스님의 글씨는 글자 한 자에 오만전을 주어도 좋다는 사람이 있었다고 한다. 너로서는 아직 지영 스님에 비교할 수가 없다."
"그럼 구양순 선생과 비교하면 어떻습니까?"
"내가 듣기에 구양순은 <吾聞  詢不擇紙筆 皆得如志 君得此> 종이와 붓을 가리지 않고 어떤 종이에 어떤 붓을 가지고 쓰든 다 자기 뜻대로 되었다고 한다. 내가 어떻게 그럴 수 있겠느냐"
"그럼 어떻게 해야 합니까?"
"너는 아직 손과 붓이 굳어 있다. 그것을 완전히 없애면 크게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구양순은 종이와 붓을 가리지 않고 어떤 종이에 어떤 붓을 가지고 쓰든 다 자기 뜻대로 되었다고 한다. 반대로 저수량은 너구리털로 심을 넣고 토기털로 겉을 싼 붓끝에 상아나 코뿔소 뿔로 자루를 한 붓이 아니면 글씨를 쓰지 않았다고 전한다.

당서(唐書)의 이야기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능서불택필(能書不擇筆)이다.

고사성어 능서불택필(能書不擇筆)은 당서(唐書)의 이야기에서 나오는 불택지필(不擇紙筆)이란 말이 변해서 생겨난 말로, 글씨 잘 쓰는 사람은 붓의 좋고 나쁨을 가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우리 속담에 '서투른 무당이 장구 탓한다.'는 말이 있다.  장구를 잘 치거나 춤을 잘 추거나하는 사람은 장구를 가리지 않고 장단이 필요없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말해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붓을 가리지 않는다는 말은 능력을 자랑한 말이 아닐까? 글씨를 잘 쓰는 사람이 붓을 택하지 않을 리가 없다. 전장에 나가는 장군이 말과 칼을 고르지 않았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