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결과를 예견하거나 예측할 수 있는 비유로 쓰이는 고사성어 이상견빙지(履霜堅氷至)

박남량 narciso 2013. 11. 6. 13:54


결과를 예견하거나 예측할 수 있는 비유로 쓰이는 고사성어 이상견빙지(履霜堅氷至)




고사성어 이상견빙지(履霜堅氷至)란 말은 보통 사람이 얼른 느끼지 못하는 어떤 조그만 조짐을 보고 장차 올 중대한 결과를 예견하거나 예측할 수 있는 비유로 쓰이는 말로 좋은 뜻으로도 쓰일 수 있지만 보통 좋지 못한 결과에 대한 예고로써 쓰인다.

역경(易經)에 있는 말이다. 곤(坤)은 땅을 뜻하고 음(陰)을 뜻한다. 곤(坤)의 반대는 건(乾)이다. 건(乾)은 하늘이요 양(陽)이다. 양(陽)은 더운 것, 밝은 것이다. 계절로는 가을과 겨울이 곤(坤)에 속하고 봄과 여름이 건(乾)에 속한다.

가을이 되어 서리를 밟게 되면 차츰 날씨가 추워져 끝내는 천지만물이 다 얼어붙는 깊은 겨울이 오게 되는 것이다. 단풍잎 하나가 땅에 떨어지는 것을 보고 가을을 느껴 첫서리를 밟는 순간 추운 겨울에 대비할 만반의 준비를 갖추기 시작해야 한다.

국가와 가정, 단체 그것이 흥하고 망하는 것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봄이 온 뒤에 여름이 오고 가을이 온 다음에 겨울이 닥치듯 처음에는 잘 느껴지지 않는 아주 작고 약한 조짐에서 출발해서 그것이 계속 쌓이고 쌓여 커지고 굳어져서 결국은 그것이 극한에 달하고 마는 것이다.

지금 우리 주위에서 일어나고 있는 정치, 사회의 모든 분야를 심사숙고해 보아야 하지 않을까? 서리를 밟으면서도 곧 겨울이 오는 것을 깨닫지 못한 어리석음에서 오늘이 있지 않았을까?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련의 사태에 안타까움이 드는 것은 왜 일까?

세상 모든 사물은 일조일석에 갑자기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아주 작은 데서부터 시작해서 점차 그 극도에 달하게 되었다. 뜨겁던 여름이 어제 같지만 한 번 찬 서리를 밟게 되는 순간 추운 겨울이 닥쳐올 것을 우리는 미리 알게되는 것이다. 겨자씨 같은 작은 것도 그것이 싹이 트면 새가 앉아 놀 만한 큰 가지를 갖게 되는 것이다.

역경(易經)의 곤괘(坤卦) 초효(初爻)에 실린 글에서 유래된 고사성어가 이상견빙지(履霜堅氷至)이다.

이상견빙지(履霜堅氷至)란 서리를 밟게 되면 머지 않아 단단한 얼음을 보게 된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