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은 남겨둔 채 임차인의 주민등록만 일시 옮긴 경우 대항력
주택을 임차하여 가족과 함께 입주한 후 거주하고 있던 중
처와 자녀들의 주민등록은 그대로 두고 사정상 임차인이
일시 다른 곳으로 일시 퇴거 하였다가
다시 임차주택의 주소지로 전입신고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임차인이 다른 주소지로 퇴거한 사이에
임차주택이 경매되어 소유자가 바뀌었습니다.
이 경우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력이 있는지를
알아 보겠습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에 의하면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력을 갖추는 시기는
임차인이 임차한 주택에 입주를 하고
주민등록을 마친 다음 날 부터 입니다.
-대법원 1996.1.26선고 95다30338판결-
그리고 주민등록이라는 대항요건에 관하여 판례는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제1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민등록이라는 대항요건은 임차인 본인뿐만 아니라
그 배우자난 자녀 등 가족의 주민등록을 포함하므로
주택임차인이 그 가족과 함께 그 주택에 대한 점유를
계속하고 있으면서 그 가족의 주민등록을 그대로 둔 채
임차인만 주민등록을 일시 다른 곳으로 옮긴 경우라면,
전체적으로나 종국적으로 주민등록의 이탈이라고 볼 수
없는 만큼, 임대차의 제3자에 대한 대항력을 상실하지
아니한다. 라고 하였습니다.
-대법원 1998.1.23선고 97다43468판결-
가족과 함께 일시 주민등록을 옮긴 경우의 판례는
주택의 임차인이 그 주택의 소재지로 전입신고를 마치고
그 주택에 입주함으로서 일단 임차권의 대항력을 취득한 후
어떤 이유에서든지 그 가족과 함께 일시적이나마
다른 곳으로 이전하였다면 이는 전체적으로나 종국적으로
주민등록의 이탈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그 대항력은 그 전출 당시 이미 대항요건의 상실로
소멸되는 것이고,
그 후 그 임차인이 얼마 있지 않아 다시 원래의 주소지로
주민등록을 재전입하였다 하더라도 이로써 소멸되었던
대항력이 당초에 소급하여 회복되는 것이 아니라,
그 재전입한 때부터 그와는 동일성이 없는
새로운 대항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위 사안의 경우
임차한 주택에 실제로 입주 하였고 주민등록까지 마친 경우에는
가족의 주민등록을 그대로 둔 채 임차인만 주민등록을 일시
다른 곳으로 옮겼다 하더라도 대항요건으로서의 주민등록의
이탈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처음 주민등록을 마친 다음날
대항력을 취득한다고 할 것입니다.
따라서 임차주택을 경매절차에서 매수한 사람에 대하여도
여전히 대항력을 주장할 수 있다 하겠습니다.
'생활 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유자의 인감증명서를 가진 자와 부동산매매계약체결 시의 그 효력 (0) | 2004.11.05 |
---|---|
개인회생절차와 개인워크아웃 절차와의 비교 (0) | 2004.11.04 |
공무원의 명예퇴직수당도 압류대상이 되는지 여부 (0) | 2004.11.01 |
개인회생절차와 개인파산절차의 비교 (0) | 2004.10.29 |
전부명령과 추심명령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0) | 2004.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