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무신을 거꾸로 신지 않은 설씨녀 이야기 고무신을 거꾸로 신지 않은 설씨녀(薛氏女) 이야기 설씨녀는 경주 율리의 평민 집의 여자였다. 비록 빈한하고 외로운 집안이었으나 용모가 단정하고 뜻과 행실이 잘 닦아졌다. 보는 사람들이 그 고운 자태를 흠모하지 않는 이가 없었으나 감히 가까이 하지 못하였다. 진평왕 때의 일이다. 그녀 아버지.. 역사 산책 2008.02.27
역사이야기 / 충신 두로에게 목숨을 잃은 고구려 모본왕 충신 두로에게 목숨을 잃은 고구려 모본왕 대무신왕이 숨을 거두자 큰 왕비가 낳은 태자가 있었으나 나이가 어려 대무신왕의 아우 해색주가 제 4 대 임금이 되니 그가 민중왕이다. 어쩌다 임금이 되기는 했으나 임금으로 자격이 없는 신통찮은 위인이었다. 임금이 백성을 돌보지 않고 고개를 돌리자 .. 역사 산책 2008.01.29
조선조 임금의 조와 종의 의미와 기준 조선조 임금의 조(祖)와 종(宗)의 의미와 기준 조선의 27 명의 왕들 가운데 태조,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등 7 명의 왕들에게 조라는 시호를 썼으며 죽어서 왕으로 대접받지 못한 연산군과 광해군을 제외한 나머지 왕들은 모두 종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왕의 시호는 살아 생전에 정하는 것이 .. 역사 산책 2008.01.24
선덕여왕과 여근곡 설화 선덕여왕과 여근곡 설화 신라 제 27 대 선덕여왕은 이름 그대로 선덕과 슬기를 갖춘 임금이었던 것 같다. 우리나라 최초의 여왕으로 쌓은 업적도 많다. 삼국유사에는 선덕여왕의 지기삼사를 기록하여 그의 슬기로움을 보여준다. 지기삼사의 하나가 여성과 관련된 것으로 경주 건천면에 있는 오봉산 중.. 역사 산책 2008.01.10
고구려의 제천의식 동맹 고구려의 제천의식 동맹 고구려의 제천의식을 말하며 동명(東明)이라고도 하는데 농경의례로서 부족 공동체의 추수감사제였음을 짐작하게 한다. 동맹에 관한 기록을 보면 10 월에 하늘에 제사하고 대회하니 이름하여 동맹이라 한다고 하였으며 나라 동쪽 높은 곳에 모시고 제사할 때 목수를 신좌에 .. 역사 산책 2008.01.07
문무대왕의 수중왕릉 대왕암 과 만파식적 문무대왕의 수중왕릉 대왕암과 만파식적 문무왕은 신라 제 30 대 왕 그는 태종무열왕의 맏아들로서 어머니는 김유신의 누이인 문명왕후이다. 문무왕은 백제와 고구려를 평정하고 당나라의 세력을 몰아내어 삼국통일을 완수한 군주이다. 삼국을 하나로 통일하는 대업을 마무리하여 통일신라의 찬란한.. 역사 산책 2007.12.03
눈물 흘리는 영의정 오리 이원익 눈물 흘리는 영의정 오리 이원익 선조, 광해군, 인조 세 국왕의 지극한 총애를 받으며 영의정을 여러번이나 지낸 이원익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태종의 왕자 익녕군 이치의 4 대손인 이억재와 어머니 동래군 부인 정씨의 아들로 태어나 조선 중기의 난국 속에 보기드문 충신이었다. 인조반정으로 광해.. 역사 산책 2007.07.02
숙종임금 과 갈처사 숙종임금 과 갈처사 숙종임금은 어머니가 명성왕후 김씨로 일곱 살 때에 왕세자에 책봉되어 열네 살 되던 창덕궁 인정문에서 즉위했다. 숙종은 인현왕후와 인원왕후에 앞서 원비로 영돈녕부사 김만기의 딸인 인경왕후를 맞이했으며 제20대 경종을 낳은 장희빈과 제21대 영조를 낳은 숙빈 최씨 명빈 박.. 역사 산책 2007.05.10
벽란도 와 코리아 벽란도 와 코리아 고려와 중국 송나라가 친교관계를 맺게 되었다. 고려는 송나라의 발달된 문화를 배우고자 유학생 등을 자주 송나라로 보냈다. 고려와 송나라는 무역을 할 때에는 육로보다는 주로 뱃길을 이용했다. 육로를 이용하면 많은 물건을 실어 나를 수 있어 유리했지만 거란족과 여진족이 길.. 역사 산책 2007.05.01
무덤의 이름은 어떻게 구분할까 무덤의 이름은 어떻게 구분할까 능(陵) 원(園) 묘(墓) 총(塚) 분(墳) 헷갈리는 무덤의 이름들 능(陵)은 왕과 왕비의 무덤을 말한다. 문무대왕릉, 신문왕릉, 선덕여왕릉 태릉, 선릉 등이다. 추존왕은 왕으로 보지만 왕위에 있었으나 축출된 왕은 왕으로 보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와 .. 역사 산책 2007.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