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유하면서 교만하지 않기는 쉽다는 고사성어 부이무교(富而無驕) 부유하면서 교만하지 않기는 쉽다는 고사성어 부이무교(富而無驕) 위(魏)나라 무후(武侯)인 자격(子擊)이 태자였을 때, 길에서 아버지의 스승인 전자방(田子方)을 만났다. 자격(子擊)이 수레에서 내려와 엎드려 절을 했지만 전자방(田子方)은 태자의 절을 받고도 예(禮)를 행(行)하지 않았.. 고사 성어 2018.12.06
불만은 의존의 결핍이요 의지의 허약입니다 불만은 의존의 결핍이요 의지의 허약입니다 인간의 요구는 욕구와 욕망으로 구분힙니다. 욕구란 본능적, 충동적으로 무언가를 구하거나 얻고 싶어하는 생리적, 심리적 상태를 말하며, 욕망은 부족을 느끼어 이를 채우려고 바라는 마음을 말합니다. 배를 채우기 위해 음식을 먹으려는 것.. 삶의 묵상 2018.01.11
더하면 넘치고 덜하면 부족한 세상살이 더도 덜도 말고 세 번만 생각해 보세요 더하면 넘치고 덜하면 부족한 세상살이 더도 덜도 말고 세 번만 생각해 보세요 我卒作事(아졸작사) 悔不思之(회불사지) 思而後行(사이후행) 寧有禍隨(녕유화수) 我卒吐言(아졸토언) 悔不復思(회불부사) 思而後吐(사이후토) 寧有辱追(영유욕추) 思之勿遽(사지물거) 遽則多違(거즉다위) 思.. 삶의 지혜 2017.03.31
배수진을 치고 싸운다는 고사성어 배수일전(背水一戰) 배수진을 치고 싸운다는 고사성어 배수일전(背水一戰) 패전의 충격에서 점차 헤어나자 원소(袁紹 154 - 202)는 다시 한번 군사를 일으킬 계획을 세웠다. 원소(袁紹)가 기주(冀州)에서 조조(曹操 155 - 220)를 치고자 출발했다. 조조(曹操)도 전투에 대비해 병력을 하상(河上)에 주둔 시킨 뒤였다.. 고사 성어 2016.09.16
포위된 적에게는 도망갈 길을 열어준다는 고사성어 위사필궐(圍師必闕) 포위된 적에게는 도망갈 길을 열어준다는 고사성어 위사필궐(圍師必闕) 銳卒勿攻 餌兵勿食(예졸물공 이병물식) 歸師勿遏 圍師必闕(귀사물알 위사필궐) 窮寇勿迫 此用兵之法也(궁구물박 차용병지법야) 날카로운 군사를 공격하지 말라, 이병과는 교전하지 말라. 철수하는 군사를 막지.. 고사 성어 2016.07.11
천국과 지옥의 선택 천국과 지옥의 선택 한 일본 무사가 존경받는 선사를 찾아가 이렇게 물었습니다. "극락과 지옥이라는 것이 정말로 존재합니까?" "당신은 누구시오?" 선사는 대답 대신 물었습니다. "저는 사무라이입니다." 무사가 대답했습니다. "네가 군인이라고? 세상의 어떤 왕이 당신 같은 사람을 군인.. 삶의 묵상 2016.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