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물이 있으나 고치지 않는다는 고사성어 과이불개(過而不改)
논어에 過而不改 是謂過矣(과이불개 시위과의)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허물이 있으니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일러 허물이라 이른다”가 된다. 공자는 잘못에 많은 관심을 가졌기에 그의 책인 논어에는 잘못에 관한 얘기가 많이 나온다.
이미 잘못한 부분에 대해 과거를 나무라기보다는 그 잘못을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더 중요하다. 즉, 어떤 잘못을 했을 때는 곧장 바르게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는 뜻이다.
논어(論語)의 학이편(學而篇)에서는 군자의 수양에 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군자는 중후하지 않으면 위엄이 없고, 학문을 해도 견고하지 않으며, 충성과 믿음을 주로 하며, 자기보다 못한 자를 친구로 삼지 않으며, 잘못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아야 한다(子曰 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 主忠信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논어(論語)의 학이편(學而篇)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과이불개(過而不改)이다.
과이불개(過而不改)란 허물이 있으나 고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잘못을 하고서도 고치지 않는다는 말이다.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물의 참된 모습을 밝혀야 명확한 지식이 얻어진다는 고사성어 격물치지(格物致知) (0) | 2022.03.12 |
---|---|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이라는 뜻의 고사성어 군자삼락(君子三樂) (0) | 2022.03.05 |
군자가 두려워하고 경외해야 할 세 가지가 있다는 고사성어 군자삼외(君子三畏) (0) | 2022.02.19 |
자신의 주관과 좁은 소견으로 그릇된 판단을 한다는 고사성어 군맹평상(群盲評象) (0) | 2022.02.12 |
큰 일을 하기 위해 오랫동안 조용히 때를 기다린다는 고사성어 불비불명(不蜚不鳴) (0) | 2022.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