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일을 하기 위해 오랫동안 조용히 때를 기다린다는 고사성어 불비불명(不蜚不鳴)
여씨춘추(呂氏春秋) 중언편(重言篇)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초(楚) 나라 목왕(穆王)이 죽고 아들 장왕(莊王)이 즉위하였다. 장왕은 황하 남쪽까지 세력권을 확장한 목왕과는 달리 밤낮으로 주색에 파묻혀 있으면서 정사를 돌보지 않았다. 특히 자신에게 간언하는 자는 죽이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어느 날 오거(五擧)라는 신하가 죽을 각오를 하고 아뢰었다.
“대궐 안에 큰 새가 있는데 三年不動不飛不鳴 삼 년 동안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습니다. 이 새는 어떤 새입니까?”
장왕이 매서운 눈으로 오거를 째려보더니 말했다.
“삼 년 동안 날지 않았으니 한 번 날면 하늘까지 날 것이요, 삼 년 동안 울지 않았으니 한 번 울면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할 것이다.”
그러고도 장왕은 여전히 정사를 돌보지 않았다. 그러자 대부 소종(蘇從)이 다시 한번 목숨을 걸고 장왕 앞에 나아가 강언했다. 장왕은 그때서야 오거와 소종을 등용하는가 하면 부패와 부정을 일삼고 왕에게 아첨만을 일사는 무리들을 소탕하고 선정을 펼쳐 천하의 패권을 차지하게 되었다.
장왕은 이렇게 말했다. 삼 년을 움직이지 않은 것은 뜻을 굳히기 위해서이며, 날지 않는 것은 날개가 완전히 여물어지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울지 않는 것은 백성들이 어떻게 하는가를 지켜보기 위한 것이다.
여씨춘추(呂氏春秋) 중언편(重言篇)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불비불명(不蜚不鳴)이다.
불비불명(不蜚不鳴)란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큰 일을 하기 위해 오랫동안 조용히 때를 기다린다는 말이다.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자가 두려워하고 경외해야 할 세 가지가 있다는 고사성어 군자삼외(君子三畏) (0) | 2022.02.19 |
---|---|
자신의 주관과 좁은 소견으로 그릇된 판단을 한다는 고사성어 군맹평상(群盲評象) (0) | 2022.02.12 |
치우치지도 기울어지지도 않다는 고사성어 불편불의(不偏不倚) (0) | 2022.01.29 |
양을 잃었으나 어디로 갔는지 모름을 한탄한다는 고사성어 망양지탄(望羊之歎) (0) | 2022.01.22 |
암탉이 새벽을 알린다는 뜻의 고사성어 빈계지신(牝鷄之晨) (0) | 2022.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