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

사물의 참된 모습을 밝혀야 명확한 지식이 얻어진다는 고사성어 격물치지(格物致知)

박남량 narciso 2022. 3. 12. 12:30

사물의 참된 모습을 밝혀야 명확한 지식이 얻어진다는 고사성어 격물치지(格物致知)

장미매발톱꽃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과 더불어 사서(四書) 중의 하나인 대학(大學)에 삼강령(三綱領)과 팔조목(八條目)이 있다.

삼강령(三綱領)은 명명덕(明明德), 친민(親民), 지어지선(止於至善)으로 밝은 덕을 밝히고 백성을 가깝게 하며, 훌륭한 경지에 이르게 하는 것을 말한다.

팔조목(八條目)은 삼강령을 실현하는 단계를 뜻한다. 그 단계는 사물의 이치를 구명하는 격물(格物)과 온전한 지식을 이루는 치지(致知) 후에 성실한 마음으로 지혜에 이르는 성의(誠意)를 하면 마음을 바르게 하는 정심(正心)이 되고, 그 뒤에야 몸을 닦는 수신(修身)과 집안을 꾸미는 제가(齊家)가 된 다음, 나라가 다스려지는 치국(治國). 결국 천하가 화평해지는 평천하(平天下)가 된다.

격물치지(格物致知)란 만물은 제각각 이치를 가지고 있고 이 이치를 캐들어가면 어느 땐가는 만물의 표리(表裏)와 정조(精粗)를 밝힐 수 있다는 뜻이다.


사서(四書) 중의 하나인 대학(大學)에서 유래되는 고사성어가 격물치지(格物致知)이다.

격물치지(格物致知)란 사물의 참된 모습을 밝혀야 명확한 지식이 얻어진다는 뜻으로, 사물의 원리와 법칙을 분명히 연구하고 종결하여 이성적 지식을 터득해야 한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