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

학문이 없으면 사람이 될 수 없다

박남량 narciso 2016. 9. 4. 15:44


학문이 없으면 사람이 될 수 없다



人生斯世  非學問  無以爲人(인생사세 비학문 무이위인)
所謂學問者  亦非異常別件物事也(소위학문자 역비이상별건물사야)
只是爲父當慈  爲子當孝  爲臣當忠(지시위부당자 위자당효 위신당충)
爲夫婦當別  爲兄弟當友 爲少者當敬長 爲朋友當有信(위부부당별 위형제당우 위소자당경장 위붕우당유신)
皆於日用動靜之間  隨事各得其當而已(개어일용동정지간 수사명득기당이기)
非馳心玄妙 希 奇效者也(비지심현묘 기효자야)
但不學之人 心地茅塞 識見茫昧(단불학지인 심지모색 식견망매)
故 必須讀書窮理 以明當行之路然後(고 필수독서궁리 이명당행지로연후)
造詣得正而踐履得中矣(조예득정이천이득중의)
今人 不知學問在於日用 而妄意高遠難行(금인 부지학문재어일용 이망의고원난행)
故 推與別人 自安暴棄 豈不可哀也哉(고 추여별인 자안폭기 개불가애야재)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서 학문이 아니고서 사람이 될 수가 없다.
학문이라고 말하는 것은 또한 이상스럽거나 별다른 사건이나 물건이 아니다.
아비가 된 사람은 자애로워야 하고,
자신된 사람은 효도해야 하며,
신하가 된 사람은 충성을 다해야 하고,
부부가 된 사람은 분별이 있어야 하고,
형제가 된 사람은 우애가 있어야 하며,
젊은 사람은 웃어른에게 공손해야 하고,
벗이 되었다면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모두 나날이 살아가는 일상의 행동에서 저마다 그에 마땅한 일을 따르면 될 뿐이고,
마음을 아득하고 묘한 곳으로 내달려 기이한 효과를 바라는 것이 아니다.
다만 학문을 하지 않은 사라은 마음이 막히고 식견이 어둡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모름지기 책을 읽고 이치를 끛까지 연구하여 마땅히 행해야 할 길을 밝혀야 하며,
그러고 난 다음에야 학문의 조예가 올바름을 얻게 되고 실천하는 데에 중심을 잡게 될 것이다.
요즘 사람들은 배움이 나날의 생활에 있음을 알지 못하고 높고 멀어서 행하지 못할 일이라고 헛되이 생각한다.
그리하여 학문을 다른 사람에게 미루고 스스로는 포기해 버리니 어찌 슬픈 일이 아니겠는가.

배운다는 것은 가르침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내가 모르고 있던 사물에 대해서 남이 하는 것을 그대로 본받을 수도 있고 남이 하는 것을 내 마음에 새겨 내 나름대로 깨달을 수도 있습니다.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7 - 1584)의 격몽요결(擊蒙要訣)에 실린 글입니다. 율곡(栗谷) 이이(李珥)는 학문을 통해서만 비로소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다고 전제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학문의 목적이 단순히 지식을 얻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수양하는 데 있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장자(莊子)가 말했습니다.

"莊子曰 人之不學 如登天而無術 學而智遠 如披祥雲而覩靑天 登高山而望四海(장자왈 인지부학 여등천이무술 학이지원 여피상운이도청천 등고산이망사해) 사람이 배우지 않음은 재주 없이 하늘에 오르려는 것과 같고, 배워서 지혜가 깊어지면 마치 상서로운 구름을 헤치고 푸른 하늘을 보며 높은 산에 올라 사해를 바라보는 것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