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

실수하며 살아가는게 인간의 삶이지만 한 번의 실수가 큰 어려움에 빠지게 합니다

박남량 narciso 2016. 9. 12. 15:20


실수하며 살아가는게 인간의 삶이지만 한 번의 실수가 큰 어려움에 빠지게 합니다



동해에 여송(呂宋)이라는 작은 나라가 있었습니다. 그곳 백성 중에는 이마에 혹이 난 사람이 많았습니다. 그중 한 사람은 이마에 거의 항아리만한 혹이 나서 그 무게를 감당하지 못해 몸을 일으키는 것조차 버거웠습니다.

가족이 이를 부끄럽게 여겨 쫓아내어 그는 산속으로 들어갔습니다. 한밤중이 되자 도깨비들이 북을 치며 시끄럽게 떠들면서 다가왔습니다. 사내는 두려운 마음을 떨쳐 버리려고 북소리에 맞추어 춤을 추었습니다. 이를 본 도깨비들이 말했습니다.

"이상도 하다. 사람도 살지 않는 산속에 이처럼 같이 놀 만한 좋은 벗이 있다니!"

도깨비들은 계속 북을 쳤습니다. 사내도 북소리에 맞추어 신명나게 춤을 출 수밖에 없었습니다. 먼동이 틀 무렵 도깨비들은사내에게 세 번씩이나 거듭 물었습니다.

"우리들은 해가 뜨면 이곳을 떠나야 한다. 내일 밤 다시 만날 수 있을까?"

겁이 잔뜩 난 사내는 반드시 오겠다고 세 번 대답했습니다. 그러나 도깨비들은 의심을 지우지 못하였습니다.

"사람의 마음은 믿기 어려우니 혹을 떼어 약속의 징표로 삼아야겠다."

도깨비들은 이렇게 말하며 사내의 혹을 떼어 갔습니다. 혹 뗀 사내의 소문은 삽시간에 온 동네에 퍼졌습니다. 마을 사람 중에 이 사내와 비슷한 크기의 혹을 가진 또 다른 사내가 있었습니다. 그 사내는 혹을 뗀 사내의 소문을 듣고는 찾아가 자세한 내막을 물었습니다. 그리고는 기뻐하며 산으로 허겁지겁 달려갔습니다.

과연 한밤중이 되자 도깨비들이 시끄럽게 떠들면서 다가왔습니다. 사내는 들은 대로 정신없이 춤을 추었습니다. 도깨비들은 즐거워하며 함께 놀다가 헤어지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약속을 어길까봐 혹을 떼어 징표를 삼았는데 자네가 스스로 왔으니 다시 돌려주겠네."

그리고는 사내의 이마에 혹을 터억 붙여주었습니다. 사내는 대성통곡을 하면서 한 개의 혹도 감당하기 어려운데 이제는 둘이나 되었구나하고는 골짜기에서 스스로 목을 메어 죽었습니다.

이는 일본 스님이 들려준 이야기입니다. 내가 일본에 포로로 잡혀 갔다가 돌아왔다고 세상에서는 나에게 손가락질을 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친구들이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대는 다시 벼슬을 구하여 포로로 잡혀갔던 치욕을 씻어 버리지 그러나?"

나는 친구의 말을 일축하였습니다.

"설사 구한다 하더라도 누가 주겠는가?"

이 글은 강항(姜沆 1567-1618)의 간양록(看羊錄)에 실린 글입니다. 강항(姜沆)이 붙인 본래의 책 제목은 건차록(巾車錄)입니다. 건차(巾車)란 죄인을 태우는 수레입니다. 적군에 사로잡혀 끌여가 생명을 부지한 자신을 죄인으로 자처하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강항(姜沆)이 세상을 떠난 뒤인 1645년 그의 제자들이 책을 펴내면서 스승을 중국 한나라 때 흉노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어 흉노왕의 회유를 거부하고 양을 치는 노역을 하다가 19년 만에 돌아온 소무(蘇武)에 견주어 간양록(看羊錄)으로 바꾸었습니다.

이 책은 당시 소중화(小中華)에 사로 잡혀있던 조선에 경각심을 일깨우는 대단한 기록입니다. 일본과의 전쟁을 겪으면서 우리는 당시의 참혹함을 알 수 있는 자료를 징비록(懲毖錄)이나 난중일기(中日記) 등을 통해서 그려봅니다. 하지만 이런 전쟁의 도화선이 된 일본의 실상에 대한 기록은 간양록(看羊錄)이 유일합니다.

이 글을 쓴 강항(姜沆)은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일본에 포로로 잡혀 갔다가 돌아왔습니다. 강항(姜沆)은 자신이 겪은 전날의 치욕도 씻지 못한 형편에 다시 벼슬을 하여 새로운 치욕을 더 얻지나 않을까 스스로 염려하고 있습니다. 실수하며 살아가는게 우리의 삶이기에 실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때로는 한 번의 실수가 큰 어려움에 빠지게 합니다. 우리들은 과연 혹을 떼려다 하나를 더 붙인 바보처럼 자신의 실수를 뉘우치고 개선하기보다는 이를 교묘한 꾀로 숨기려다가 오히려 더 큰 실수를 저지르는 일을 하고 있지나 않은지 되돌아볼 일입니다.<꽃사진: 솔잎도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