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春香傳)
한국의 대표적 고전소설이다. 판소리로 불리다가 소설로 정착된 판소리계 소설의 하나이다. 춘향전은 조선 영조와 순조 사이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측되는 작자와 연대 미상의 애정소설이다.
전라도 남원부사의 아들 이몽룡이 방자를 데리고 광한루에서 시를 읊고 있다가 마침 남원 고을 기생 월매의 딸 춘향이 광한루 시냇가에서 향단을 데리고 그네를 뛰며 봄놀이를 즐기고 있음을 본 이도령이 방자를 시켜 춘향을 불러 보는데 그 아름다운 자태에 빠져 그날 밤으로 춘향을 찾아가 백년가약을 맺는다. 두 남녀는 이내 깊은 사람에 빠졌으나 남원부사가 갑자기 한양으로 영전하게 되어 이도령과 춘향은 이별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두 사람은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하고 이별한다. 그런데 새로 부임하여 온 사또 변학도가 춘향이 절세미인이란 것을 알고 수청들기를 명하나 춘향은 일부종사를 내세워 죽기를 맹세하고 수청들기를 거절한다. 이에 신관사또는 춘향을 옥에 가둔다. 한편 이도령은 한양으로 올라가 열심히 학문을 닦아 장원급제하였다. 마침 전라도 지방 암행어사가 되어 내려온다. 암행어사가 된 이도령은 춘향이 옥중에서 갖은 고생을 하고 있다는 말을 듣고 사또 변학도의 생일 잔칫날에 각 수령들이 모인 때를 맞아 어사출도를 단행하여 변학도를 봉고파직시키고 춘향을 구출 재회한다.
문학적 작품성은 이보다 조금 앞선 숙종 때 지어진 구운몽에 비하여 뒤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여성이 온갖 악조건 속에 핍박과 고난을 겪다가 끝내 사랑을 이룬다는 통속적인 이야기의 이 소설이 현재까지 민중적인 환영을 받고 있다. 사랑이란 상호 간의 한없는 헌신이자 믿음임을 몸소 보여주고 있는 소설로서 이 사랑을 위한 헌신과 믿음을 당시 사회적 통념과 제도도 막지 못했다는 점에서 이 소설 속의 사랑은 사회적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