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산책

처용가와 망해사

박남량 narciso 2006. 6. 6. 10:56


 

                         처용가와 망해사

 

                       신라 제49대 헌강왕이 지금의 울주
                       개운포에 나가 해변가에서 쉬고 있을 때
                       난데없이 구름과 안개가 덮여
                       지척을 분간할 수가 없었다.
                       이상히 여겨 점성관에게 물으니 아뢰기를
                       이는 동해 용왕의조화이므로

                       왕께서 좋은 일을 행하시어 풀어야 합니다 하니
                       왕은 용을 위하여 근처에 절을 세우도록
                       명하니 안개가 걷히고 구름이 개었으므로
                       개운포라고 이름지었다.

                       그 때 용이 기뻐하여 일곱 아들을 데리고
                       헌강왕 앞에 나와 덕을 칭송하며 춤을 추니
                       만족한 얼굴로 춤과 노래를 감상하였다.

                       환궁을 할 때 용왕의 아들 하나가 따라와서
                       정사를 보좌하였는데 이름을 처용이라 했다.
                       왕은 미모의 여자로 처용의 아내를 삼아주고
                       벼슬까지 주어 머물게 하였다.
                       어느 날 처용 아내의 아름다움을 역신이
                       탐을 내어 사람으로 변신하여 밤에 처용의
                       집으로 들어가 처용의 아내와 즐기는데
                       밤새도록 춤과 노래로 시간을 보내다가
                       집으로 돌아 온 처용은 그 광경을 보고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물러갔다.
                       그 노래가 처용가 인데

                        (원문)
                   東京明期月良
                   夜入伊遊行如可
                   入良沙寢矣見昆
                   脚烏伊四是良羅
                   二兮隱吾下於叱古
                   二兮隱誰支下焉古
                   本矣吾下是如馬於隱
                   奪叱良乙何如爲理古


                       (현대어)
                      서울 밝은 달밤에
                      밤 깊도록 놀고 지내다가
                      들어와 잠자리를 보니
                      다리가 넷이로구나
                      둘은 내 것이지마는
                      둘은 누구의 것인고
                      본디 내 것이다만은
                      빼앗긴 것을 어찌하리

                      이 노래를 듣고 역신이 모습을 나타내며
                      내가 공의 아내를 흠모하여 죄를 범했는데도
                      노하지 않고 노래를 부르시니 공의 미덕에
                      감탄하였습니다. 이후로는 공의 얼굴을 그린
                      상만 보아도 그 집에는 들어가지 않기로
                      맹세하겠습니다 하며 물러갔다.

                      이 말에 따라 처용의 모습을 문에 붙여서
                      사귀를 물리치고 경사스러운 일을 맞는다는
                      풍습이 생겼다 한다.
                      그 후 왕은 지금의 울산에 있는 산으로
                      영취산 동쪽의 좋은 땅을 골라 절을 세우고
                      망해사 또는 신방사라 했으니
                      용을 위해서 세운 것이다.

'역사 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랑공주와 왕자호동  (0) 2006.06.08
유리왕과 황조가  (0) 2006.06.07
경문대왕과 임금님의 귀는 당나귀 귀 같다  (0) 2006.06.05
꿈이야기로 왕이 된 원성대왕  (0) 2006.06.02
신문대왕 과 만파식적  (0) 2006.06.01